금융위기 이후 서울의 집값이 19%가량 하락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용만 한성대 교수는 12일 HF주택금융공사가 개최한 주택금융전문가협의회에서 `주택가격 적정성 논란 및 향후 변화요인'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교수는 "미국의 케이스앤드쉴러 지수처럼 실거래가격을 기준으로 해 우리나라 부동산 가격이 최고점이던 2008년 7월과 최저점이던 2009년 1월을 비교하면 전국 8.45%, 서울 18.86%, 강남구 21.71%가 각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가계부채 증가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6개국의 평균적인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비율이 1995년 100%에서 2007년에는 170%로 상승했다"며 "노르웨이와 아일랜드, 네덜란드, 덴마크는 200%를 웃돈 점을 고려할 때 2008년 기준 134%인 우리나라의 문제점이 확대 해석된 측면이 있다"고 강조했다.
앞으로의 주택가격에 대해 "단기적으로 보금자리주택 공급과 미분양 적체, 금융규제 등으로 가격이 약간 더 조정받겠지만, 실물경기와 주식시장이 견고한 회복세를 보이면 다시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며 “수도권은 수급불균형 때문에 지역별, 유형별 차별화가 지속되고, 비수도권의 경우 재고조정으로 가격의 하향 조정압력이 유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장기적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인구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받겠지만 소득수준과 인구 1천명당 주택수, 1주택 다가구 상존, 가구변화 요인 등을 고려할 때 주택가격이 급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