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정비업체에 차량 수리 맡겼다 더 망가졌는데...
상태바
정비업체에 차량 수리 맡겼다 더 망가졌는데...
정비 과실로 인한 피해 속출하지만 보상 길 거의 없어
  • 유성용 기자 soom2yong@csnews.co.kr
  • 승인 2012.12.12 08: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례1= 김 모(남)씨는 메르세데스 벤츠 C200 차량의 사고로 직영 서비스센터를 찾았다가 정비사의 어이없는 실수로 500여만원의 추가 수리비용이 발생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사고로 터보차저에 호스를 연결하는 플라스틱 관에 금이 갔는데 견적을 뽑는 과정에서 부품을 건드려 부러트렸다는 것. 통상 견적을 낼 때는 부품을 직접 건드리지 않고 눈으로만 훑어 대략적 수리비용을 예상하게 된다. 벤츠 측은 "견적 내는 과정에서 손을 댄 것과 무관하게 해당 부품은 무조건 교체했어야 하는 품목"이라고 맞섰다.

#사례2= 직장인 박 모(남)씨는 최근 현대자동차 정비협력업체 블루핸즈에서 엔진오일을 교체했다가 엔진 성능이 저하되는 피해를 당했다. 구입 5개월 밖에 안 된 새 차가 정비실수로 오르막에서 엔진 소음이 심해지고 차체가 떨리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 것. 인근 정비소를 급히 찾은 박 씨는 지난 번 엔진오일을 교체했을 때 뚜껑이 잘못 닫혀 오일이 전부 누유 됐음을 뒤늦게 알게 됐다. 이에 박 씨는 정비 실수로 고장 가능성이 생긴 엔진의 교체를 요구했지만, 이를 거부하는 업체와 합의점을 찾지 못해 속앓이를 하고 있다.


자동차 수리 및 점검을 위해 서비스센터를 찾았다가 정비업체의 과실로 애꿎은 피해를 보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소비자들이 차량 정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없다는 점을 악용해 무성의한 수리를 한다거나, 점검 과정에서 과실을 하고도 책임을 회피하는 등 정비업체의 불량 서비스로 인한 불만이 들끓고 있다.

특히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현행 소비자분쟁해결기준으로는 만족할만한 피해 보상을 얻을 수 없는 상황이므로 차량을 수리·점검 시 소비자가 관심을 갖고 꼼꼼히 살피는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기사 특정 내용과 무관


정비업체의 과실로 애꿎은 피해를 입었다는 소비자 피해는 현대기아자동차를 비롯한 한국지엠, 르노삼성, 쌍용자동차 등 국산차는 물론 메르세데스 벤츠, BMW, 아우디, 폭스바겐, 토요타·렉서스, 혼다, 닛산·인피니티, 포드, 볼보, 푸조, 재규어랜드로버, 크라이슬러 등 수입차를 막론하고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에 줄이어 제기되고 있다.

◆ 정비 과실로 인한 피해보상?…무상수리가 최선

현행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 따르면 사업자의 정비 과실로 인해 소비자가 받을 수 있는 보상은 무상수리가 최선으로 보인다. 중요 부품에 대한 교체 및 금전적 손해보상 등은 사실상 보상을 받기 쉽지 않다.

분쟁해결기준 자동차정비업을 살펴보면 정비잘못으로 인해 해당부위 또는 관련부위에 하자가 재발한 경우라면 차령 및 주행거리에 따라 최대 90일 이내에 무상수리를 받을 수 있다.

차령 1년 미만 또는 주행거리 2만km 이내라면 최종 정비일로부터 90일 이내, 차령 3년 미만 또는 주행거리 6만km 이내 차량은 60일 이내, 차령 3년 이상 또는 주행거리 6만km 이상 차량은 30일 이내에 무상수리가 가능하다.

정비잘못으로 인해 해당부위 또는 관련부위에 하자가 재발한 경우에 대한 판단여부는 사업자가 발급한 수리용 견적서를 기준으로 하게 된다. 소비자는 정비 후 견적서를 꼭 챙겨서 보관해 두는 게 좋다. 수리용 견적서를 발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업자가 입증 책임을 지게 된다.

정비의뢰 후 사업자의 보관상 과실로 인해 벌과금 등이 소비자에게 부과된 경우에는 해당비용을 보상받을 수 있다. 정당한 사유의 통보 없이 약정한 날로부터 수리기간이 초과한 경우라면 초과기간에 대한 교통비와 실비를 받을 수 있다.

정비사가 견적을 낼 때라면 소비자는 더욱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겠다. 자칫 정비사의 말과 행동에 주목하지 않으면 덤터기 쓸 수도 있기 때문.

국토해양부 자동차생활과 관계자는 "통상 견적을 낼 때는 정비사가 부품을 분해하지 않아야 한다고 인식하는 분들이 많은데 이 같은 조항은 자동차관리법 등 어디에도 명시돼있지 않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비사는 통상적인 가이드라인에 따라 부품에 손을 댈 경우 소비자에게 비용 등을 사전에 고지한 상태서 작업을 진행하는 게 정상"이라며 "소비자는 다소 귀찮더라도 정비사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추후 예기치 못한 분쟁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자동차 정비소에서 끼워 팔기 등 부당행위가 있을 경우라면 해당 정비소가 위치한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해서 조치를 받을 수 있다.

[마이경제/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유성용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