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김영환 의원실에 제출한 ‘국제브랜드카드 발급 및 수수료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년간 비자·마스터카드 등 국제 브랜드 카드사와 제휴를 맺은 국내 카드사들이 이들 카드사에 총 2천41억 원의 수수료를 지급했다.
비자와 마스터가 찍힌 해외겸용카드를 국내에서 사용한 경우는 1천246억 원을, 해외에서 사용한 경우는 295억 원의 수수료가 지급됐다. 또 카드발급 유지 수수료 명목으로 501억 원을 지급했다.
2010년 1천395억 원, 2011년 1천644억 원, 2012년 1천818억 원 등 매년 상승해오던 수수료는 지난해 처음 2천억 원을 돌파했다.
바자·마스터 등과 제휴를 맺은 카드사들은 국내 사용에 대해서는 0.04%, 해외 사용에 대해서는 각각 0.2%와 0.204%의 수수료를 내고 있다. 마스터카드에는 국내 현금서비스 이용에 대한 수수료 0.01%를 지급한다. 여기에 이들 카드를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명목으로 카드 1장당 0.2~1달러의 카드유지발급수수료도 지급 중이다.
국내 카드사들이 지급하는 수수료는 연회비 상승 등 금융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과 해외 사용이 아닌 국내 사용임에도 1천억 원이 넘는 브랜드 사용 대가는 지나친 비용 지출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김영환 의원은 “수수료 증가는 고스란히 국민 부담으로 갈 수밖에 없는 만큼 수수료 체계 개편 등 구조적인 개선이 시급하다”며 “금융소비자 보호와 불합리한 계약 관계 개선을 위해 금융당국이 보단 적극적인 자세로 수수료 체계 개편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손강훈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