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국내 카드사, 비자·마스터 카드에 지난해 2천억원 로열티 지급
상태바
국내 카드사, 비자·마스터 카드에 지난해 2천억원 로열티 지급
  • 손강훈 기자 riverhoon@csnews.co.kr
  • 승인 2014.10.06 10: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비자’와 ‘마스터’ 등 해외 카드사에 지급된 수수료가 2천억 원이 넘어서자 해외 카드사에 로열티 명목으로 지급되는 수수료 체계를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6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김영환 의원실에 제출한 ‘국제브랜드카드 발급 및 수수료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년간 비자·마스터카드 등 국제 브랜드 카드사와 제휴를 맺은 국내 카드사들이 이들 카드사에 총 2천41억 원의 수수료를 지급했다.

비자와 마스터가 찍힌 해외겸용카드를 국내에서 사용한 경우는 1천246억 원을, 해외에서 사용한 경우는 295억 원의 수수료가 지급됐다. 또 카드발급 유지 수수료 명목으로 501억 원을 지급했다.

2010년 1천395억 원, 2011년 1천644억 원, 2012년 1천818억 원 등 매년 상승해오던 수수료는 지난해 처음 2천억 원을 돌파했다.

바자·마스터 등과 제휴를 맺은 카드사들은 국내 사용에 대해서는 0.04%, 해외 사용에 대해서는 각각 0.2%와 0.204%의 수수료를 내고 있다. 마스터카드에는 국내 현금서비스 이용에 대한 수수료 0.01%를 지급한다. 여기에 이들 카드를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명목으로 카드 1장당 0.2~1달러의 카드유지발급수수료도 지급 중이다.

국내 카드사들이 지급하는 수수료는 연회비 상승 등 금융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과 해외 사용이 아닌 국내 사용임에도 1천억 원이 넘는 브랜드 사용 대가는 지나친 비용 지출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김영환 의원은 “수수료 증가는 고스란히 국민 부담으로 갈 수밖에 없는 만큼 수수료 체계 개편 등 구조적인 개선이 시급하다”며 “금융소비자 보호와 불합리한 계약 관계 개선을 위해 금융당국이 보단 적극적인 자세로 수수료 체계 개편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손강훈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