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시비 교통카드의 복잡한 환불시스템에 대해 소비자가 불만을 제기됐다.
전북 완산구 동완산동에 사는 서 모(여)씨는 지난 8월 중순 경 초등학생인 딸을 위해 2천 원짜리 캐시비 교통카드를 구입했다.
혹시나 딸이 교통카드를 잃어버릴까 걱정돼 가방에 걸 수 있도록 고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다. 카드 끝에 뚫은 구멍이 훼손으로 인식돼 사용이 불가능했다.
충전금액을 환불 받기 위해 고객센터에 문의하자 "훼손된 카드의 환불은 직접 본사에 접수해야 한다"며 우편으로 환불 봉투를 보내주기로 했다.
하지만 일주일이 지나도록 감감무소식이었다.
보름이 지나도록 연락이 없자 고객센터로 항의해 재발송을 약속받았다. 2주 정도 걸린다는 상담원의 말에
일반우편 발송에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되물었지만 명절이 끼어 있어 지연될 수밖에 없다는 말을 되풀이할 뿐이었다.
10월이 지나도록 환불 봉투를 받지 못한 서 씨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캐시비 카드를 판매하는 가판대, 편의점 등을 방문해 환불봉투를 찾았지만 소용없없다. 다들 환불봉투가 떨어졌다거나 아예 봉투 존재도 모르는 경우도 많았다고.
서 씨는 “캐시비 측으로부터 받기로 한 환불봉투를 한 달이 넘도록 기다리고 있다”며 “판매점에 비치해 두는 것이 기본 아니냐"고 반복했다.
이어 "고작 몇 천원을 환불하는 방법이 이렇게 복잡해서야 중간에 포기하는 사람이 한둘이 아닐 것 같다. 말 그대로 고스란히 낙전수입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주)마이비 측은 "처음에 발송한 환불봉투는 고객 주소 오류로 반송됐으며 2차 접수는 고객센터 이전 관계로 업무가 바빠 누락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최종적으로 택배 발송했다고 답했다.
판매처 비치와 관련해선 규정 상 캐시비 카드 판매처는 모두 환불봉투를 비치하고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환불봉투가 소모품이다보니 일부 매장에서 소진 시 재주문을 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다고 덧붙였다.
환불 봉투를 접수해야 하는 시스템이 번거롭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2만원 미만의 금액은 판매처에서 직접 환불가능한데 그 이상의 금액이나 카드 오류일 경우는 본사 확인이 필요해 수거 접수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손강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