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가 내려가자 정기예금의 우대금리는 낮춘 반면 대출 가산금리는 높여 더 많은 대출금리를 받고 있는 것이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의 대표 예금상품인 '국민수퍼정기예금'의 지난해 말 기본금리는 연 2.3%, 여기에 우대금리 0.3%포인트를 더한 최고 금리는 연 2.6%였다.
예금금리는 '기본금리+우대금리'로 결정된다.
이 상품의 현재 기본금리는 0.3%포인트였던 우대금리를 0.08%포인트로 대폭 축소해 연 2.1%, 최고 금리는 연 2.18%로 그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다.
신한은행 'S드림정기예금'도 지난해 말 기본금리가 연 2.5%, 최고 금리는 연 2.7%였으나 현재 기본금리는 연 2.1%이며 최고 금리는 연 2.15%에 불과하다.
은행 측이 우대금리를 기존의 0.2%포인트에서 0.05%포인트로 대폭 축소하면서 이 상품의 최고 금리는 기본 금리보다 더 가파르게 떨어졌다.
다른 은행도 마찬가지다.
외환은행의 'yes큰기쁨예금'은 지난해 말 0.24%포인트에서 지금은 0.1%포인트로 줄었고 SC은행의 '퍼스트정기예금'의 최고 금리도 동기간 연 2.65%에서 2.15%로 떨어졌다.
반면 은행들은 예금 금리는 시장금리 하락분보다 더 내려가도록 만들면서 대출금리는 시장금리보다 덜 내려가도록 만들었다.
우리은행의 신규 코픽스 연동 주택담보대출의 지난해 말 금리는 최저 연 3.3%였다.
그런데 현재 금리는 연 3.27%로 고작 0.03%포인트 떨어졌다. 은행이 올해 4월과 5월 두 차례에 걸쳐 이 대출의 가산금리를 0.2%포인트씩 올렸기 때문이다.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8월까지 은행권 1년 만기 신규 정기예금의 금리 하락폭은 0.38%포인트에 달하는 반면 신규 주택담보대출의 금리 하락폭은 0.24%포인트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윤주애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