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소비자 법' 무력화시키는 여행사 '멋대로 특약'
상태바
'소비자 법' 무력화시키는 여행사 '멋대로 특약'
  • 안형일 기자 ahi1013@csnews.co.kr
  • 승인 2014.10.29 08: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여행사의 환불 관련 특약에 여행객들의 한숨만 깊어지고 있다. 불가피한 상황으로 여행을 취소할 경우 자체적으로 만든 특약 조건에 걸려 과도한 취소 수수료를 물어야 하는 상황이다.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 따르면 여행자가 여행계약 1일 전 해제 요청을 할 경우 여행사에 여행요금의 30%를 배상하도록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특약' 조건이 붙을 경우 일반 소비자법보다 우선 적용되고 있어 2배가 넘는 비용이라도 고스란히 물어 내야 한다.

29일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에 거주하고 있는 오 모(여.38세)씨에 따르면 그는 지난 7월 중순 노랑풍선에서 9월에 떠날 240만 원짜리 허니문 패키지 상품을 예약했다.

떠나기 하루 전인 9월 14일 자신이 임신 상태임을 알게 된 오 씨. '산모의 고령으로 인해 유산가능성이 있어 여행을 만류한다'는 의사의 진단에 따라 여행을 취소했다.

한달이 지난 10월 15일 여행 특별약관에 의거 항공권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은 100% 환불 불가라는 안내와 함께 240만 원 중 절반에도 못미치는 98만 원만 환불이 됐다.

병원 진단서를 첨부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이의를 제기했지만 '특약'만을 들이미는 여행사의 당당함에 한숨만 쉬어야 했다고.

오 씨는 "특별약관이 지나치게 여행사 측에 유리하게 설계되어 있다. 단순 변심이 아니라 유산의 위험이 있다고 하는데도 개인 사정이 전혀 감안되지 않는다는 게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여행사 측은 날씨, 현지 사정 등에 따라 멋대로 일정을 변경하면서 소비자의 상황 변화에는 예외 없이 칼을 들이대고 있다는 것이 오 씨의 항변.

이에 대해 노랑풍선 관계자는 "상품 계약 시 약관에 관련해 충분한 설명을 했고 소비자도 인정을 한 부분"이라며 "항공권 외에 호텔과 나머지 패키지는 여행 개시 30일 전에 확정이 되기 때문에 그 후 취소할 경우 환불이 안 된다"고 설명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7월 23일 국내여행사들의 특약이 소비자 피해가 유발 되기 쉽게 설계해 놓은 것에 대한 시정과 환불방식 설명제도 개선을 요구한 바 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안형일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