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BHC, BBQ, 교촌치킨, 굽네치킨, 처갓집양념치킨, 네네치킨, 페리카나치킨 등 7개사가 지난 2023년대비 2024년 매출원가율이 하락했음에도 불투명한 이유로 치킨 가격을 인상했다고 주장했다. BBQ와 굽네치킨 영업이익은 각각 41.4%, 59.8%로 전년 대비 크게 증가했다.
협의회는 "치킨 업계 실적 개선은 대부분 매출액 변동폭보다 매출원가 변동폭이 작았기 때문"이라며 "매출원가율 하락의 주 원인 중 하나는 원재료인 육계 가격의 하락으로 추정된다"고 강조했다.
협의회가 발표한 축산유통정보 자료를 보면 '9호 이하 닭'은 2023년 대비 2024년에 8.6% 하락했고 '10호 닭'은 6.7% 하락했다. 2022년 납품가격이 전년보다 상승해 일부 기저효과가 있다고 볼 수도 있으나 같은 기간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의 매출원가율 자체가 오히려 하락한 점을 고려한다면 가격 인상을 단행할 만한 충분한 이유로 보기 어렵다는 주장이다.
또한 협의회는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가맹점의 배달앱 수수료, 임대료 등을 이유로 가격 인상과 자율가격제(이중가격)를 시행해 비용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시켰다고 지적했다. 빠른 시일 내 이중가격제가 시정돼야 하며, 배달앱 내에서 소비자가 지출하는 금액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구체적인 가격 표시 방법이 구현돼야 한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협의회는 "지난해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들의 매출원가율은 하락하고 수익성이 개선됐음에도 본사 차원의 가맹점 비용 경감 노력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며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는 이중가격(자율가격)을 시행하면서도 이에 따른 가격 구조, 적용 기준, 가격 차이 수준 등과 같은 소비자정보 제공은 전혀 하고 있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외에서는 매장가격과 포장가격을 매장 내에 명확히 게시해 소비자가 한눈에 가격을 파악하고 비교·선택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사례가 많다. 시장 확장에 있어 소비자의 신뢰는 가장 근본이 되는 요인이며 그 신뢰는 정확하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송민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