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휴대전화 보조금,고객 충성도에 따라 달라진다
상태바
휴대전화 보조금,고객 충성도에 따라 달라진다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8.03.06 07: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휴대전화 보조금 규제가 사라지게 되면 가입자들은 더 저렴하게 휴대전화를 구입할 수 있을까.

   6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그동안 18개월 이상 가입자를 대상으로 월 사용 요금에 따라 한차례 지급하도록 한 휴대전화 보조금 규제가 26일부터 폐지된다.
이렇게 되면 사업자는 자체 기준에 따라 탄력적으로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보조금 확대를 기대하기보다는 약정의무제 도입 후 할인 등 요금 혜택을 기대하는 게 나을 것 같다.

   SK텔레콤과 KTF, LG텔레콤 등 이동통신 3사는 보조금 규제가 폐지되더라도 의무약정제 도입, USIM(가입자인증모듈) 잠금장치 해제 등 시장 변수를 지켜보면서 보조금 규모를 조절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당장 보조금 보따리를 풀어 고객 확보 경쟁에 나서지는 않겠다는 얘기다.

   ◇고객 `충성도'가 보조금 지급 기준 = 보조금 지급 기준도 바뀔 전망이다.

   지금까지는 과거 사용 실적에 따라 보조금을 받았지만 앞으로는 가입자가 해당 이통사에 기여하는 미래 수익, 즉 충성도가 어느 정도냐에 따라 보조금에 차이가 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보조금 규제 일몰에 따른 통신시장 과열과 혼탁을 막는다는 취지에서 4월부터 도입하기로 한 의무약정제는 보조금 수준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가 될 가능성이 크다.

   가입자는 의무약정제를 이용하면 이통사와 일정 기간 서비스를 이용하기로 하는 대신 요금 할인, 보조금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의무약정제를 도입하면 현 가입자 규모를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이 적지 않다"며 "규제가 사라지더라도 업계 전체가 당장 보조금을 확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라고 말했다.

   KTF도 의무약정제 고객을 대상으로 요금 할인 혜택을 늘리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보조금은 적절한 선에서 유지한다는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업계에서는 KTF가 WCDMA 서비스인 쇼(SHOW) 출시 이후 과도한 마케팅 비용으로 영업이익이 급격하게 줄어 시장이 과열되지 않는 한 보조금을 늘리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 연말 이후 순증 시장에서 밀리기 시작한 LG텔레콤은 경쟁업체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1,2월 이동통신 시장이 다소 과열됐던 점과 결합상품 출시로 인한 매출 감소, 요금 경쟁보다는 보조금 경쟁에 치우치는데 대한 여론의 비판 등도 업체들에게는 부담이다.

   이와 함께 USIM 잠금장치 해제 역시 업체들이 보조금을 푸는 데 망설이는 요인 중 하나다.

   정부 로드맵에 따르면 6월부터 3세대(G) 휴대전화의 USIM 잠금장치가 전면 개방된다.

   부가서비스 이용 등에 제약이 따르는 불완전한 개방이 될 가능성이 크지만 일단 USIM 잠금장치가 풀리면 SK텔레콤과 KTF 가입자들은 이동통신사를 지금보다는 쉽게 옮길 수 있다.

   업체로서는 막대한 보조금을 써가면서 가입자들을 확보하는 것보다는 의무약정제를 활용해 붙들어 두는 게 더 유리한 환경이 만들어지는 셈이다.

   ◇변수 많아 하반기 과열될 수도 = 그러나 변수가 적지 않다.

   무엇보다 SK텔레콤과 KTF간의 3G 시장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어 어느 한쪽이 보조금을 풀면 경쟁사들도 주머니를 열 가능성이 크다.

   SK텔레콤은 지난달까지 357만명의 3G 가입자를 확보해 423만명을 확보한 KTF를 추격하고 있다.

   월 가입자 수에서는 지난해 9월 이후 KTF를 앞서고 있어 SK텔레콤이 마음먹기에 따라서는 연말께 3G 시장의 순위가 바뀔 수 있다.

   KTF, LG텔레콤 등 경쟁사가 신경쓰고 있는 부분도 SK텔레콤이 3G 시장의 전략을 어떻게 가져가느냐 하는 점이다.

   지금까지 SK텔레콤은 2G, 3G를 병행하면서 50.5%라는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지만 3G 시장에서 속도를 높이면 보조금 경쟁도 불붙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