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무소속 연대'가 선거 직후 논의를 갖고 한나라당으로의 무조건 복당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인데 반해, 친박연대측은 친박 무소속 연대와 합친 이후 `당대 당' 통합을 통해 한나라당에 복당한다는 입장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친박 무소속 연대' 좌장격으로 부산 남을에서 당선된 김무성 의원은 1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잘못된 공천에 따라 벌어진 일들이 이제는 원상회복 돼야한다. 아무 조건없는 복당을 신청하고 한나라당에 들어갈 것"이라며 "복당 문제는 친박연대와 행동을 통일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무소속 연대로 부산 서구에서 당선된 유기준 의원은 "국민이 잘못된 공천의 주역들에 대해서는 심판을 내린 만큼, 잘못된 공천의 피해자인 우리는 아무 조건없이 한나라당에 돌아갈 것"이라고 공감했다.
그러나 양 측의 `행동 통일'이 그리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벌써부터 나온다.
한나라당 내에서는 친박 세력과의 통합이 야당으로부터 `인위적 정계개편'이라는 비판을 불러올 것이라며 통합에 신중을 기하는 기류와 함께 친박 인사들이라도 선별적으로 복당을 허용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적지 않은데다, 친박연대와 친박 무소속 연대 사이에서도 복당 방식을 놓고 의견차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친박연대 관계자는 "의원 한 명 한 명이 개인적으로 복당해서는 자칫 `찬밥' 신세가 될 수 있는 만큼 `친박 무소속 연대'가 친박연대에 입당해 교섭단체를 구성하고 이후 `당대 당' 통합을 통해 한나라당에 복당하는 것이 우리의 권익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같은 주장에는 지역구 의원(6명)보다 많은 비례대표 의원 8명의 `정치 생명'이 걸려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공직선거법상 비례대표 국회의원의 경우 국회의원 임기 시작(5월30일) 이전에 당적이 바뀌게 되면 당선이 무효가 되기 때문이다.
서청원 대표가 같은 친박연대 소속으로 대구 서구에서 당선된 홍사덕 전 국회부의장의 `즉각 복당' 입장과는 달리 `일정 조건을 만족한 뒤' 복당을 주장하는 것도 이 같은 특수 상황 때문이라는 얘기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을 포함한 친박 무소속 연대 당선자 12명과 홍사덕 전 국회부의장 및 서청원 대표 등 친박연대 당선자 12명은 11일 오후 대구 달성군의 박 전 대표 사무소를 찾아 복당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어서 해법이 나올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이런 가운데 친박연대 일각에서는 당 소속으로 당선된 비례대표 8명 중 절반이 넘은 5명이 서 대표의 사조직인 `청산회' 출신이라는 주장이 나오면서 `서대표 사당화'라는 비판이 일고 있어 향후 갈등의 불씨가 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