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수원의 한 초등학교 학부모들이 11일 "교사가 학급발전기금 명목으로 학부모들에게 돈을 요구했다"고 주장한 뒤 해당 교사의 전보조치 등을 요구하며 자녀들의 등교를 전면 거부하고 나섰다.
수원 A초등학교 학부모의 주장에 따르면 이 학교 학급담임 여교사 B씨는 지난달 28일 자신이 맡고 있는 학급 어머니회 회장과 총무를 학교로 불러 "다른 학부모들과 상의해 소문나지 않게 조용히 '학급발전기금'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했다.
학부모들은 "당시 B교사가 `자신이 어릴 때 선생님들로부터 사랑을 많이 받았는데 알고보니 아버지가 2천만원을 기부했더라. 요즘은 500만~1억5천만원까지도 낸다'고 말하며 이같이 요구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이 학교 학부모회는 학교측에 이같은 사실을 알리고 조치를 요구했으며 학교측은 지난 7일 B교사의 담임보직을 해임하고 도덕과목 담당 교과전담 교사로 전환시켰다.
그러나 학부모들은 "문제의 교사에게 아이들의 도덕교육을 맡길 수 없다"며 B교사의 전보조치 또는 장기휴직 등을 학교측에 요구했으나 학교측은 "해당 교사가 돈을 요구한 사실을 강력히 부인하고 증거도 없어 일방적인 전보 조치 등은 어렵다"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학부모들은 10일 밤 회의를 열고 이 학교에 재학중인 1천100여명 학생들의 등교를 이날부터 전면 거부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이날 이 학교 각 교실에는 3-4명의 학생만 등교, 수업이 이뤄지지 못했으며 학부모 70여명은 이날 아침부터 학교에 나와 B교사의 전보조치를 계속 요구했다.
학부모들은 "B교사가 담임직을 해임 당하고도 교실을 비워주지 않아 해당 학급 학생들이 하루동안 교무실에서 수업을 받기도 했다"고 말하고 "B교사에 대해 납득할 만한 조치가 있을 때까지 학생들의 등교를 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교사는 학급발전기금 명목의 돈을 요구한 적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교측은 "현재 시 교육청에서 이 문제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며 "해당 교사와 학부모들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에서 학교에서 일방적으로 해당 교사를 조치할 수 없는 만큼 교육청의 처분에 따를 계획이며 이와 함께 학생들의 등교 재개를 위해 학부모들을 계속 설득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