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미얀마 사이클론 인명피해 6만3천명 넘어 (종합)
상태바
미얀마 사이클론 인명피해 6만3천명 넘어 (종합)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8.05.07 00: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얀마 서남부 지방을 강타한 사이클론 나르기스(Nargis)의 영향으로 인명피해가 6만3천명을 웃도는 것으로 국영언론이 6일 보도했다.

특히 나르기스의 경로인 이라와디 삼각주와 양곤을 잇는 서남부 지방 대부분의 통신이 두절된 상태이기 때문에 피해 지역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되면 인명피해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 인명피해 '눈덩이'

국영 TV는 "오늘 낮 12시 현재 이라와디 지방에서 2만1천793명이 숨지고 4만695명이 실종됐으며 양곤 지방에서는 사망 671명, 실종 359명, 부상 670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니얀 윈 미얀마 외무장관은 이날 국영 TV에 출연 "이라와디 삼각주의 보가레이(Bogalay) 한 마을에서만 1만명이 숨졌다"면서 조사가 더 이루어지면 사망.실종자 수는 더 늘어날 전망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얀마 군사정부는 이라와디와 양곤 지방에서 1만5천명이 숨지고 3천명이 실종된 것으로 잠정 집계했었다.

미얀마 군정과 국영언론은 지난 3일 사이클론 나르기스가 서남부 5개 지방을 덮쳐 재난지역으로 선포한다고 밝혔으나 이중 이라와디와 양곤의 피해 상황에 대해서만 발표하거나 보도할 뿐 다른 3개 지방은 아직까지 언급조차 없는 상태다.

마웅 마웅 스웨 구호복지부 장관은 "희생자 대부분은 폭풍우 자체가 아니라 높은 파도 때문이었다"면서 "높이 3.5m의 파도가 해안가 마을을 덮쳤으며 주민들은 달아날 길이 없었다"고 사이클론 강타 당시를 설명했다.

미얀마에서 활동하고 있는 기독교 구호단체인 '월드비전'은 피해 상황이 2004년 말 인도양 쓰나미 때와 버금갔다고 전했다.

팀 코스텔로 월드비전 호주지부장은 "쓰나마 때만큼이나 피해가 광범위했으며 수많은 희생자와 함께 수백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해 끔찍한 상황이다"고 말했다.

◇ 국제사회 지원 쇄도

인명 및 재산 피해가 확산되자 미얀마 군정도 이례적으로 국제사회에 도움을 호소하고 나섰다.

니얀 윈 외무장관은 자국민 뿐 아니라 외부의 지원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미얀마 군정이 외부 지원을 환영하고 나선 것은 전례가 없는 것으로 그만큼 상황이 심각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미얀마 군정은 2004년 쓰나미(지진해일)가 동남아시아를 휩쓸었을 때에도 지원을 거부한 바 있다.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의 폴 리슬리 대변인은 WFP 관계자가 군정 고위관리를 만나 음식과 식수, 담요, 비닐 등 구호품을 긴급 지원해주겠다는 제안을 하자 이를 받아들였다면서 "가능한 한 빨리 구호품이 전달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미얀마에 제재조치를 취하고 있는 미국은 WFP 등 구호단체를 통해 지원하겠다고 밝혔으며 유럽연합(EU)도 200만유로(300만달러)의 긴급 구호금 지원을 약속했다.

인도와 태국 등 인접국들도 선박과 수송기 등을 이용해 식료품과 텐트, 담요, 옷 등 구호품을 지원할 계획이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피해 지역의 현장 접근이 어려워 구호품 전달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의 리처드 호세이 대변인은 AFP 통신과 인터뷰에서 전력과 통신이 두절된 것은 물론 도로마저 끊긴 곳이 많아 구호품 전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 민생 외면, 국민투표 강행

미얀마 군사정부는 사이클론 재난지역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예정대로 오는 10일 신헌법 찬반 국민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영 TV는 6일 "이라와디의 7개 마을, 양곤의 40개 마을 등 사이클론으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당한 47개 마을의 국민투표를 24일로 연기한다"며 다른 재난 지역을 포함한 전국 대부분은 예정대로 오는 10일 국민투표가 실시된다고 보도했다.

이에 아웅산 수치 여사가 이끄는 야당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은 "재난을 당한 국민의 사회적 어려움은 도외시 한 채 군정이 국민투표에만 역점을 두는 것을 도무지 받아들일 수 없다"며 국민투표의 전면적인 연기를 요청했다.

군정은 신헌법이 국민투표를 통과하면 이를 토대로 2010년에 총선을 실시할 방침이다.

신헌법 초안에 따르면 상·하 양원 의석의 25%는 군부에 할당하도록 명시, 사실상 군정체제를 굳히려는 의도가 담겨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영국인과 결혼하고 두 아들이 영국 국적인 아웅산 수치 여사는 대선과 총선 출마 자격이 박탈되는 것으로 확인돼 국내외에서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미얀마는 1988년 군사정권이 대규모 민주화 시위를 무력으로 제압한 후 1974년에 제정된 헌법의 발효를 중지시켜 현재 헌법이 없는 상태다.(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