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학교건물 내진설계 비율13.7%..지진 땐 대참사
상태바
학교건물 내진설계 비율13.7%..지진 땐 대참사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8.05.21 07: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 쓰촨성 강진으로 학교 건물 7천여채가 붕괴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학교 건물의 안전성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학교 건물의 내진설계 비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지난해 8월 1일 기준으로 1천㎡ 이상, 3층 이상 초ㆍ중ㆍ고교 건물 총 1만7천734동 가운데 내진설계가 돼 있는 건물은 2천429동으로 전체의 13.7%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즉 조사 대상의 86.3%에 달하는 1만5천305동의 학교 건물에는 내진설계가 돼 있지 않아 만약의 사태가 발생했을 경우 큰 피해가 우려된다는 뜻이다.

특히 국내 전체 초ㆍ중ㆍ고교, 특수학교, 교육기관 등이 보유한 교육 시설물 총 6만8천405동을 대상으로 3월 실시한 재난 위험도 진단에서는 0.17%인 119동의 건물이 재난위험시설인 `D, E급'을, 1.61%인 1천102동이 중점관리대상인 `C급'을 받았다.

   D급은 노후화 또는 구조적 결함으로 긴급한 보수ㆍ보강이 필요한 상태, E급은 안전성에 위험이 있어 사용금지 및 개축이 필요한 상태, C급은 보조부재에 손상이 있어 보강 또는 일부시설 대체가 필요한 상태를 각각 의미한다.

   현재 국토해양부는 댐, 터널, 교량, 건축물 등 주요 시설물에 대해 평균 6.0의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내진설계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2005년 7월에는 내진설계를 해야 하는 건축물 기준을 `6층 이상 1만㎡' 이상'에서 `3층 이상 1천㎡ 이상'으로 상향조정했다.

이에 따라 2005년 7월 이후 신설된 3층 이상, 1천㎡ 이상의 학교 건물은 모두 내진설계가 반영돼 지어졌으나 그 이전에 건축된 학교 건물의 경우 예산 등의 문제로 인해 아직까지 내진 보수 등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게 교과부 설명이다.

   기존 학교 시설물 전부에 대해 내진보수ㆍ보강 등 리모델링을 하려면 총 31조5천60억원 가량의 막대한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교과부는 추산하고 있다.

   교과부 관계자는 "예산 문제 때문에 기존 학교시설에 대한 내진보강은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안"이라며 "그 일환으로 학교시설 내진성능 평가 프로그램 등 내진보강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정책연구를 추진중"이라고 말했다.

   교과부는 또 올 3월 제정된 지진재해대책법(소방방재청)에 따라 기존 시설물에도 내진보강을 해야 하는 만큼 이 법의 시행령이 마련되는 대로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학교 시설물 내진보강 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