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쌀값 폭등에 수입비용 2천400억원 불어
상태바
쌀값 폭등에 수입비용 2천400억원 불어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8.09.04 08:01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 쌀 값이 치솟으면서 정부가 쌀 수입에 지출하는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곡물 가격 급등으로 밀.옥수수.콩 뿐 아니라 자급이 가능한 쌀마저 우리 경제에 큰 부담을 주고 있는 셈이다.

   4일 농림수산식품부가 국회에 제출한 제1회 추가경정 예산안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양곡관리특별회계(양특회계) 상 '수입양곡대' 추경예산으로 3천689억5천500만 원을 요청했다. 이는 당초 올해 본예산으로 잡혀있던 1천611억1천300만원의 2배를 웃도는 규모로, 예산 증가액이 2천78억4천200만 원에 달한다.

수입양곡대란 2004년 세계무역기구(WTO) 쌀 협상 결과를 반영, 쌀 관세화를 2014년까지 유예하는 대신 해마다 들여오기로 약속한 의무수입물량(MMA)을 구입하는데 필요한 예산이다.

   2008년도 MMA 물량은 가공용 24만8천402t, 밥쌀용 6만3천55t 등 총 31만1천457t으로, 올해말까지 국제 입찰을 통해 해당 물량의 수입 계약을 맺어야 한다. 올해 체결된 물량 가운데 가공용 일부는 오는 10월말 도입되지만 나머지 밥쌀용 등 대부분은 내년에 수입될 예정이다.

   정부는 지난해에 2008년 예산을 짜면서 가공용과 밥쌀용 평균 수입단가를 각각 t당 540달러, 650달러로 가정하고 환율은 달러당 920원을 기준으로 총 1천611억1천300만 원(가공용 1천234억600만 원+밥쌀용 377억700만 원)을 수입양곡대 예산으로 배정했다.

   그러나 작년 하반기 이후 국제 쌀 값이 폭등함에따라 기존 예산만으로는 계약 자체가 불가능해졌다.

   농식품부가 8월 현재 국제 쌀 가격과 환율 등을 토대로 다시 소요 예산을 추정한 결과, 올해 MMA 물량의 도입 계약을 맺는데 모두 3천995억7천600만 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미 책정된 예산을 2천384억6천300만 원이나 웃도는 수준이다.(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유태현 2008-09-04 09:29:12
삼성전자
만성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