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가만드는신문=임기선 기자] 국내 여성들은 응급피임약을 바캉스 철과 연말에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부인과 의사들의 모임인 피임연구회(회장 이임순, www.piim.or.kr)가 서울시내 30개 산부인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응급피임약 처방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전문의들은 바캉스 철인 7월(25%)과 8월(23.5%)에 이어 연말시즌인 12월(22.2%)에 응급피임약을 가장 많이 처방한다고 응답했다. 일주일 중 응급피임약 처방율이 가장 높은 요일은 월요일이 93.9%로 다른 요일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처방 시간대는 오전(60%)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피임약을 주로 처방 받는 여성들의 연령대는 20대가 66.7% 로 가장 많았으며, 미혼여성(80%)이 기혼여성(6.7%)에 비해 훨씬 많았다. 응급피임약을 처방 받은 여성 중 인공임신중절을 경험한 여성들은 10명 중 4명(30%)이었다.
그러나 응급피임약에 대한 지식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피임약 처방을 받은 여성들과 상담 시, 반복된 응급피임약의 복용이 건강에 해롭다는 것을 전혀 모르거나(36.7%) 잘 모르는(30%) 여성이 전체의 과반수를 넘었다. 또한 많은 여성들이(53.3%) 응급피임약을 반복해 사용할 경우 피임효과가 감소된다는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어, 응급피임약에 대한 정확한 지식 제공과 사전 피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향상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부인과 전문의들은 응급피임약 처방 시 피임상담(76.7%)과 더불어 향후 효과적인 피임을 위해 먹는 피임약을 함께 처방(66.7%)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었다. 또, 대다수(76.7%)의 전문의들이 응급피임약을 한번에 2팩 이상 처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임연구회 이임순 회장은 “여름휴가철이나 연말, 그리고 한 주 중 월요일에 처방율이 높다는 것은 미리 준비된 피임이 아닌, 들뜬 분위기에서 계획되지 않은 성관계가 이루어진 후 급한 마음에 임시방편으로 응급피임약을 사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반복적인 응급피임약 복용은 다량의 호르몬을 한꺼번에 복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성들의 건강에 해로우며, 피임효과도 떨어진다는 사실을 정확히 알리고, 먹는 피임약과 같은 안전한 사전 피임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