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가계부채 심상찮네"..신규대출 25%가 제2금융권
상태바
"가계부채 심상찮네"..신규대출 25%가 제2금융권
  • 임민희 bravo21@csnews.co.kr
  • 승인 2010.03.29 09: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계 대출 가운데 카드론이나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고 있어 채무구조의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지고 있다.

제2금융권 대출자는 상환능력 이상으로 대출을 많이 보유한 경우가 많아 금리가 인상되면 이자나 원금을 갚지 못할 우려가 커 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신용정보 CB연구소가 29일 발간한 '가계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전체 가계 대출 가운데 제2금융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10.10%를 기록했다.
카드, 카드론, 저축은행, 캐피탈 등에서 대출한 금액의 비중은 2008년 1분기 이후 하락을 거듭했으나, 작년 6월 이후 증가세로 돌아서 10%대를 넘어섰다.

특히 신규 대출 가운데 25%가 제2금융권에서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역대 최고였던 2007년 하반기 수준에 육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제2금융권의 가계 대출 비중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작년 말 대출 보유자 가운데 40% 이상이 제2금융권의 대출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의 제2금융권 대출이 늘면서 채무건전성지수가 80.3으로, 전분기 대비 6.5포인트 하락했다. 현재는 정밀 관찰이 필요한 수준이지만, 80 아래로 내려가면 위험하다는 것을 뜻한다고 한신정은 전했다.

제2금융권 대출의 경우 상환능력 등 심사가 덜 까다로워 주로 신용 중, 하위 등급이 이용해 왔지만, 최근에는 주로 은행을 이용했던 신용 상위등급(1∼3등급)에서도 늘어나는 추세다.

상위등급의 제2금융권 대출 이용률은 2004년에 3.5%에 불과했지만 작년 말 5%까지 증가했다.

중위(4∼6등급)의 급증세는 더 두드러져 9%에서 13.15%로 늘어났다. 4, 5, 6등급의 경우 전체 대출 가운데 카드 대출 비중이 각각 15.05%, 20.38%, 15.58%로 모두 15%를 넘어섰다.

제2금융권 대출까지 가세하면서 작년 4분기 1인당 평균 대출 규모는 5천228만원으로, 1분기 4천952만원, 2분기 5천47만원, 3분기 5천132만원에서 확대됐다.

한국신용정보는 "대출자들의 채무 상환 능력은 그대로인데 부채 규모가 커지고, 특히 은행에 비해 금리가 높고 부실화 가능성이 큰 제2금융권 대출이 늘어나 가계 채무의 건전성이 나빠질 수 있다"며 "가계 부채의 잠재 부실이 감지되므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