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하 식약평가원)은 7일 한국인의 장내에 서식하는 미생물 44종을 조사한 결과 한국인 특유의 신규 미생물 10종을 분리했다고 밝혔다.
이중 2종은 각각 Bacteroides faecis와 Bifidobacterium stercoris로 명명돼 미생물 계통분류학 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국제미생물계통분류학회지(IJSEM) 10월호에 실릴 예정이다.
사람의 장에는 500~1천종 이상의 미생물이 존재하며 이들은 영양소의 흡수와 약품 대사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인 장내 미생물 분야를 연구하는 국가사업단인 약물대사기반연구사업단 배진우 경희대 교수팀이 수행했다.
연구사업단은 앞으로 장내 미생물의 작용을 조절하는 효소들을 찾아내고 한국인 특유의 장내 미생물 50종 이상을 분리할 계획이다.
식약평가원 관계자는 "장내 미생물 연구는 한국인 체질에 맞는 약물·식품 개발과 건강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며 "한국인 장내 미생물 분포도가 완성되고, 이번 연구로 건강 및 약물대사에 미치는 역할이 규명될 경우 한국인의 체질에 적합한 건강관리와 약물투여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