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큰 인기를 얻으면서 고공 비행중인 저가 항공사들에서 조종사의 실수가 잇따라 발생, 소비자들을 불안에 떨게 하고 있다.
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의 여객기 여압장치가 뒤늦게 작동, 승객들에게 큰 불편을 초래했으며 지난달에는 이스타항공의 기장이 전날 마신 술이 덜 깬 상태로 조종간을 잡으려다 적발되기도 했다.
지난 7일 김포공항을 출발해 제주로 향하던 제주항공 7C107편 항공기의 기내 압력조절을 조정하는 여압장치가 조종사의 실수로 뒤늦게 작동하는 바람에 일부 승객이 귀에 통증을 호소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비행 경력 20년의 베테랑인 이 항공기의 조종사는 이륙 후 5~6분 가량이 흘러 고도 1만피트 상공에 진입해서야 여압장치 미작동 사실을 알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행히 승객 가운데 건강에 큰 이상을 보인 사람은 없었지만, 조금만 대처가 늦었어도 고막 파열 등 심각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도 있었던 상황이라 승객들은 불안에 떨어야했다.
저가항공이 지난 5월 말 기준으로 국내선 탑승 분담률 40%를 돌파하는 등 빠른 기간에 안정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던 비결로는 기존 항공사의 70~80%에 불과한 저렴한 항공료와 함께 안정적인 운영이 꼽히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저가항공사가 관련된 사고로는 최초의 저가항공사인 한성항공 여객기가 지난 2006년 11월 제주공항에 착륙하다 앞바퀴 타이어 2개가 떨어져 나가는 바람에 승객 등 6명이 다친 사례외에는 없어 이용객이 크게 늘었다.
실수로 여압장치를 미작동시킨 제주항공의 한 관계자는 "여압장치가 고장나 회항하는 사례는 다른 항공사에서 이따금 발생한 걸 본 적은 있어도 이런 실수는 처음이라 죄송하다"면서 "실수가 재발하지 않도록 사고 조종사를 재교육시키는등 안전에 만전을 기하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진에어, 에어부산 등 여타 저가 항공사들은 이번 일들로 저가항공사의 신뢰성이 동반 추락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우려 속에 휴가철 예약률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