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삼성전자 '반도체 신화' 여전히 진행중
상태바
삼성전자 '반도체 신화' 여전히 진행중
  • 유성용기자 soom2yong@csnews.co.kr
  • 승인 2011.09.04 09: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세계 D램 시장에서 사상 최고의 점유율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돼 '반도체 신화'를 이어갔다.

  
4일 시장분석 전문기관인 아이서플라이의 'D램 다이나믹스'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분기 세계 D램 시장에서 41.6%의 사상 최고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를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지난 1분기 D램 시장 점유율이 39.7%로 하락, 40% 밑으로 떨어지며 시장 지배력이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삼성전자의 2분기 D램 매출은 33억5천만달러로 1분기(32억6천만달러)보다 2.7% 상승했다.

  
하이닉스도 D램 시장에서 2분기 시장 점유율이 23.4%로 자체 최고 점유율을 기록하며 선전했다.

  
이어 엘피다가 14.6%의 점유율로 3위였고, 마이크론(10.6%), 난야(4.7%), 윈본드(1.3%) 등 순이었다.

  
아이서플라이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의 시장 점유율을 합치면 모두 65%로, 일본 반도체 기업들의 점유율이 1980년대 후반 75%까지 이르렀던 것을 제외하고는 단일 국가로서 최고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아이서플라이는 "삼성이 지난 10년간 확실하게 세계 D램 시장을 지배해 왔다"며 "한국 기업들의 뒤를 이어서는 일본 기업들이 전체 15% 점유율로 2위였고, 미국과 대만이 3~4위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아이서플라이는 또 "지정학적으로 남한에 D램 공급이 집중되는 것은 수요자 입장에서는 불안한 요소일 수 있다"며 "지난 3월 일본 대지진과 같은 비상 상황이 한국에 발생할 경우, D램이 IT를 비롯한 전자산업 전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점을 감안한다면 글로벌 전자업계 전반에 큰 충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아이서플라이는 그러나 삼성과 하이닉스는 연말까지 D램 시장에서 점유율을 강화할 전망이고, 대만 업체들은 D램 시황이 회복되지 않는 상황에서 일정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 의문시된다고 덧붙였다.

  
업계 한 관계자는 "D램 가격이 하락세를 거듭하는 상황에서도 한국 기업들이 여전히 시장 장악력을 유지하며 오히려 매출이 늘어날 수 있는 것은 제품 다변화와 기술개발로 우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당분간 한국의 D램 시장 지배는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