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이 끝나고 명절증후군을 겪지 않으려면 아무리 늦게 자더라도 아침에는 평상시의 기상 시간을 지켜 깨어나는 게 좋다. 정 졸리면 낮에 10~20분씩 토막잠을 자는 게 낫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가급적 연휴 마지막 날은 최대한 휴식을 취함으로써 남은 피로를 완전히 풀 수 있는 완충시간을 갖도록 해야 한다. 따뜻한 물에서 목욕을 하거나 가벼운 체조 등으로 긴장을 풀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귀향길이나 귀성길처럼 정체된 도로 위에서는 운전이 단조로워 피로가 가중되고 자칫하면 졸음운전을 하기 쉽다. 따라서 2시간마다 차를 세워 10분 이상씩 휴식을 취해야 한다. 범퍼에 한쪽 다리를 올려놓고 상체를 다리 쪽으로 굽힌 채 15초 동안 멈추기를 교대로 반복하는 체조가 운전자의 피로회복과 정신 집중에 도움이 된다.
운전석에서 한 손으로 운전대를 잡고 다른 한 손은 천장까지 손을 뻗는 동작을 되풀이하면 좋은 스트레칭이 된다. 양어깨를 귀까지 끌어올렸다가 내리기를 반복하는 것도 운전자 스트레칭의 한 방법이다. 운전대를 꽉 쥐었다가 놓는 것도 쉽게 할 수 있는 스트레칭 가운데 하나다.
밀폐되고 좁은 공간의 공기는 쉽게 탁해져 머리를 무겁게 하고 졸음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도 명심해야 한다. 심하게는 두통, 호흡기 질환, 근육 긴장, 혈액순환 장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자동차를 타고 가는 동안에는 자주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운전 중 흡연을 삼가야 하는 것은 기본이다.
고열랑·고콜레스테롤 음식도 주의해야 한다. 식혜, 떡, 부침, 고기 등의 기름지고 단 명절음식은 고열량, 고콜레스테롤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농도를 증가시켜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증 환자들의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다.
당뇨환자의 경우 과식으로 인한 고혈당도 문제지만 배탈이나 설사로 저혈당이 유발될 수도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또 고혈압이나 심장병 환자가 염분을 많이 섭취하면 체내에 수분이 고이는 '울혈성 심부전'이 올 수 있다.
또 지나친 음주로 인한 급성위염이나 숙취, 간 기능 장애 등도 주의가 필요하다.
유행성출혈열과 쓰쓰가무시병 등 풍토병에 주의해야 한다. 성묘 후 열이 나고 춥고 떨리며 두통 등의 감기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유행성출혈열은 쥐의 폐에 있는 바이러스가 소변을 통해 사람의 호흡기로 감염되는 질환이다. 감기로 오인해 방치하면 신부전증, 저혈압 등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들쥐 배설물이 있을 만한 잔디에 드러눕거나 잔디에서 침구나 옷을 말리지 않는 게 좋다. 렙토스피라는 피부 상처를 통해 전염되는 세균질환이다. 고인 물에 손발을 담그지 말고 작업 때는 장화와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쓰쓰가무시병은 진드기의 유충에 물려 발생하는 질환으로, 물린 자리에 직경 1㎝가량의 붉은 반점이 생긴다. 야외에서는 긴 옷을 착용하고, 산이나 풀밭에선 앉거나 눕지 말아야 한다.
차멀미가 심한 사람은 먹는 멀미약이나 붙이는 멀미약, 즉 패치제를 미리 준비하는 게 좋다. 먹는 약은 승차 1시간 전, 붙이는 약은 최소한 4시간 전에 써야 효과가 있다. 그러나 녹내장이나 전립선비대증이 있는 사람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붙이는 약은 부착 후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씻지 않고 무심코 눈을 만지면 눈동자가 커져서 일시적으로 잘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