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현 정부 실세인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 비서관이 부산저축은행 구명 청탁과 억대의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곧 검찰의 소환조사를 받을 예정이지만 이는 전 현정권 정관계 고위직 수사의 시작에 불과할 것이라는 관측이 일고 있다.
더우기 부산저축은행 사태는 전정부때 시작된 것이라는 점에서 검찰이 현정권 연루자만 수사하고 전정권 실세 연루자를 그냥 놔둘리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20일 검찰에 따르면 부산 저축은행사태 수사와 관련, 금융계는 물론 청와대로까지 전방위 수사 조짐을 보이면서 정치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미 은진수 전 감사원 감사위원과 김해수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 김광수 전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장 등이 부산저축은행 구명로비 및 금품수수 혐의로 현 정부 인사들이 줄줄이 구속 기소된 마당에 또 다시 김 전 홍보수석까지 비리에 연루됐을 경우 청와대 등 '살아있는 권력'에 대한 대대적인 수사가 불가피한 상황.
현정권 청와대 실세마저 수사망에 직접 오르내리고 있는 상황에서 전정권 출신 인사들이라고 해서 수사의 칼날을 비켜가기 어려울 것으로 금융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처럼 저축은행 비리에 전․현직 거물급 인사들의 개입정황이 속속 포착되면서 '비리 몸통'이 밝혀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또 부산저축은행 외에 새로 영업정지된 저축은행의 불법행위도 속속 드러나고 있어 이에대한 수사까지 확대될 경우 저축은행 수사는 그 끝을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한편, 금융당국은 지난 18일 7개 저축은행에 대한 영업정지를 단행하면서 뱅크런(예금인출사태) 조짐과 부실축소 의혹 등 후폭풍이 거세게 일고 있다.
이번에 퇴출된 저축은행 중 토마토․제일․에이스저축은행 등은 금융당국의 경영진단 전까지는 '8․8클럽(국제결제은행 기준 자기자본비율 8% 이상, 부신여신비율 8% 이하)'에 가입된 우량저축은행이었다는 점에서 해당 대주주와 경영진의 불법행위를 철저하게 조사해 처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아울러 경영진단 결과 이들 저축은행의 BIS비율이 1% 미만임에도 우량저축은행으로 둔갑할 수 있었던 배경과 감독을 소홀히 한 감독당국 책임자 처벌, 불법로비 가능성 등에 대해서도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임민희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