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LG CNS, SK C&C 등 대기업 계열의 SI업체들이 그룹의 IT일감을 독식해 결과적으로 중소기업들과의 동반성장을 저해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열린 국회 지식경제위원회의 중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은 대·중소기업 간 상생과 중소기업 지원 문제를 집중 거론하고 정부의 대책을 주문했다.
이날 이명규 의원(한나라당)은 "대기업 계열의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기업(MRO)보다 더 문제 있는 곳이 삼성SDS, LG CNS, SKC&C 등 대기업 계열 SI업체"라며 "대기업 그룹 관계사가 일감을 몰아줘 한 해 수조원대 매출을 올리며 비약적으로 성장했다"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SK C&C, 삼성SDS, LG CNS는 각각 총 매출액의 63.9%, 63.1%, 45.5%에 해당하는 수익을 관계사에서 수주받은 일감을 통해 올렸다. 게다가 이들은 정부와 공공기관의 SI 물량마저 수십년간 독식하고 있는 상황이다. 삼성SDS는 교과부, 문화체육관광부, 행안부, LG CNS는 특허청과 대법원, 포스텍은 농림수산식품부 등의 SI 업무를 오랫동안 독점해왔다.
이 의원은 "대기업 SI 업체들이 해당 그룹과 정부 및 공공기관의 IT물량을 독식하다 보니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의 생태계가 제대로 형성될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라며 "중소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대기업만 바라보는 해바라기 하청업체로 전락해 버린 이런 하도급 구조에서는 중소 소프트웨어 업체가 살아남기 힘들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중소기업 상생발전을 저해하는 대기업 SI 업체들에 대한 강력한 제재조치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국내 SI 중소기업은 고사하거나 대기업 SI업체의 용역업체로 전락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김동선 중기청장은 "MRO 대책을 정부 차원에서 마련했듯이 대기업 SI 업체들의 해당 그룹의 IT물량 몰아주기를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을 지경부와 동반성장위원회 등과 협의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