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융권에서 연이어 고객정보 유출 사태가 발생하자 금융당국의 늑장대응을 질타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원장 권혁세)이 카드사 등에 고객 관리 강화를 주문하고 현장점검을 실시할 방침이지만 당국의 부실감독과 뒷북검사가 사태를 키웠다는 게 금융계의 지적이다.
2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최근들어 삼성카드·하나SK카드 등 카드사 내부 직원에 의한 고객정보 유출이 잇따르면서 금감원이 고객정보 관리 점검에 나섰다.
각 카드사로 하여금 고객정보 운용실태와 보호대책을 자체 점검케 한 뒤 다음달 초까지 보고토록 한 것. 금감원은 자체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내부통제가 취약한 카드사를 중심으로 현장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하지만 금융권 사상 초유의 정보유출 사태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금융당국에 일차적인 책임이 있다는 비난이 거세다.
지난 4월에 발생한 농협 전산장애 및 현대캐피탈 해킹 사건에서도 금감원의 늑장대응이 여실히 드러났다. 180여개의 금융회사 보안시스템을 고작 11명의 IT검사 인력이 담당하다보니 IT검사를 받지 못한 금융회사도 상당수에 달한다는 사실이 세간에 알려지게 된 것이다.
NH증권과 리딩투자증권에서도 고객정보 유출 사태가 발생했지만 아직까지 제재는 이뤄지지 않은 실정이다.
금융당국은 최근 IT 부문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을 묻기 어렵다는 이유로 농협의 최고경영진을 징계 대상에서 제외하면서 솜방망이 처벌이라는 비난도 받고 있다.
삼성카드에 이어 하나SK카드에서도 5만여건의 고객정보가 내부 직원에 의해 유출되면서 감독 강화에 나섰지만 이를 보는 시선은 곱지 않다. 금감원의 감독 태만과 봐주기식 제재가 사태를 키우고 있다는 게 업계의 지배적인 시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고객정보 유출 사태가 또다시 불거진 것은 금감원의 책임이 크다”며 “금감원의 솜방망이식 처벌과 감독태만은 기존의 문제를 반복하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꼬집었다.
또 다른 금융 업계 관계자는 “고객정보 유출이 잇따라 발생한 뒤에야 현장점검을 실시하는 등 뒷북을 치고 있다”며 “또다른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금융권 전반에 대한 보안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김문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