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U+(부회장 이상철)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데스크톱가상화(VDI) 기술을 콜센터에 접목한 형태의 '클라우드 콜센터' 사업을 시작한다고 27일 밝혔다.
클라우드 콜센터 VDI 서비스를 적용하면 콜센터를 운영하는 데 드는 유지·보수 비용과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 문제를 해결하고 효율적인 고객 상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LG U+는 설명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은행, 보험사, 카드사 등 콜센터를 운영하는 기업들은 콜센터를 확대하고 싶어도 시스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고 관리해야 하는 상담원 PC가 늘어난다는 등의 문제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상담원 재택근무 시스템을 도입하려 해도 회사와 같은 환경을 어떻게 재택 환경에 구현할지, 중요 상담 정보가 재택근무자의 개인 PC를 통해 유출되지는 않을지 등에 대한 걱정 때문에 쉽게 추진할 수가 없었다.
클라우드 콜센터 VDI 환경에서는 상담원들이 전용 단말기에 아이디(ID)와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회사나 자택 등 어디에서나 동일한 콜센터 시스템으로 근무할 수 있다.
또 민감한 고객정보가 개인 PC단말이 아닌 서버에만 저장되기 때문에 정보유출을 강력하게 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담원의 PC에 불법 소프트웨어나 바이러스가 유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100석 규모의 콜센터를 VDI로 형태로 바꾸면 비용을 약 40%가량 절약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