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영업정지 대상에서 제외된 저축은행 가운데 3곳 중 1곳은 자본잠식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연합뉴스가 저축은행 89곳의 감사보고서와 저축은행중앙회 경영공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저축은행의 37%(33곳)가 자본잠식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자본잠식 저축은행은 지난해 6월 말 24곳보다 9곳 늘어났다.
자본금을 모두 까먹고 타인자본(부채)으로만 회사를 꾸려가는 완전자본잠식 저축은행은 6월 말 기준 6곳으로, 작년에 비해 3곳 증가했다.
저축은행의 부실이 대폭 확대된 것은 영업 환경이 나빠져 손실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분석 대상 89곳의 2010 회계연도 당기손익은 3천653억원 적자였다. 2009 회계연도의 821억원 적자보다 네 배 이상으로 늘었다.
일부 대형 저축은행도 자본잠식상태였다. 자산규모 국내 1위 저축은행인 솔로몬저축은행은 작년 한 해에만 1천269억원의 적자를 내며 자본금을 까먹기 시작했다. 1천40억원 규모의 자본금이 6월 말 현재 608억원으로 급감해 자본잠식률이 41.52%에 달했다. 흥국과 유니온저축은행 등도 자본잠식 상태에 들어갔다.
신민과 우리, 대원, 예쓰, 경남제일, 미래저축은행 등은 완전자본잠식 상태다. 신민과 경남제일, 미래는 1년 만에 자본금을 모두 날리고 완전자본잠식 대상이 됐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