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약세로 외국인 관광객이 늘면서 지난 8월 여행수입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규모로 늘어났다.
9일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에 따르면 8월 일반여행 수입은 11억4천만달러로 2008년 11월 11억6천만달러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반면 환율이 오른데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가 심화로 여행수지 적자가 7월보다 절반이상 줄었다.
증가율도 전년 같은 달 대비 43.9%에 달해 전월(21.5%)의 두 배에 달했다. 이는 2009년 2월 97.6%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이다.
이처럼 8월 중 여행수입이 급증한 것은 원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난 것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더욱이 지난달에는 원ㆍ달러 환율이 평균 1천125.09원으로 전월보다 4.8% 추가 상승하면서 2008년 11월 5.6% 이후 최대 상승률을 기록함에 따라 향후 일반여행 수입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일반여행 지급(내국인 해외지출)은 13억6천만달러로 전월(14억1천만달러)보다 3.4% 줄었다. 8월이 성수기인 점을 고려하면 상당한 감소세다. 전년 같은 달보다는 13.5% 늘어났으나 증가폭은 크게 둔화했다.
일반여행 지급은 증가율이 6월 36.6%, 7월 21.6%, 8월 13.5%로 3개월 연속 줄어들면서 지난해 말(13.2%)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에따라 8월 여행수지 적자는 2억2천만달러를 기록, 7월(4억9천만달러)보다 절반 이상(55%) 줄었다.
한은 관계자는 "8월 중 여행수입이 급등한 것은 일본인과 중국인을 중심으로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라며 "일본인은 엔화 강세, 중국인은 구매력 상승 및 비자발급 요건 완화에 따라 한국을 찾는 발길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반면 여행지급은 8월 후반 들어 환율이 오르면서 해외여행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조성돼 증가폭이 크게 둔화됐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