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경기침체 우려에 금값 다시 오름세 전환
상태바
경기침체 우려에 금값 다시 오름세 전환
  • 김미경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11.10.27 08: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 실물 경기 침체 우려가 증폭되면서 금값이 다시 오름세로 돌아서고 있다.

  
지난 25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은 전날 종가보다 48.10달러(2.9%) 오른 온스당 1,700.40달러를 기록하며 한 달여 만에 1,700달러대를 회복했다.

  
26일 오전 중에는 온스당 1,720달러대까지 치솟기도 했다.

 
금 가격은 올해 들어 장중 한때 1,923달러까지 올라가 2,000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지만 지난 9월 들어 경제 위기감이 고조되자 장중에 1,600달러대가 붕괴되기도 했다.


세계 경제에 대한 전망이 극도로 불안해지면서 투자자들이 현금 확보를 위해 금을 포함한 대부분 자산을 팔았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안전자산으로서의 금의 가치가 떨어졌다는 얘기까지 흘러나왔다.


실제 지난 2개월 동안 금 가격은 대표적인 위험 자산인 주식과 함께 상승하거나 하락했다.


하지만, 유럽연합(EU) 회원국 간의 이견이 해소되지 않는 등 유럽의 재정 위기 해결에 필요한 뚜렷한 돌파구가 보이지 않자 불안을 느낀 투자자들이 다시 금을 사들이기 시작한 것으로 시장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즉 경제위기에는 역시 금이 최고 안전자산이라는 인식이 다시 확산되고 있다는 방증으로 주가와 동조 현상을 보였던 금값의 움직임도 달라지고 있다.

  
지난 25일 EU가 재무장관 회담을 전격 취소해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나스닥 등 3대 지수는 1∼2%대의 하락세를 나타냈지만, 금 가격은 상승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유럽의 위기 해결을 위한 EU 회원국들의 노력도 금 시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유럽 은행의 자본 확충에 대한 지원이 이뤄지면 유럽 은행이 보유한 금을 팔 필요가 없어 금 가격의 하락 가능성이 줄어들 것으로 WSJ는 내다봤다.


시장 관계자들은 금값이 올라가면 은, 백금, 팔라듐 등 다른 귀금속의 가격도 비슷한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