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공간에서 주민번호 등 개인정보가 여전히 무방비로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인터넷 보안전문가들에 따르면 개인정보를 노출하는 곳은 현재까지 확인된 곳만 50개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글 검색창에 '나경원 주민등록번호'와 행정기관명을 조합해 키워드로 입력하면 주민등록번호 13자리가 검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개인 정보가 담긴 문건은 나 최고위원이 서울시장 후보로 나서기 전인 지난 6월 14일에 처음 발견된 뒤 현재까지 노출돼 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대구광역시 중구청, 영남건설기술교육원 등 주요 정부 산하기관도 개인정보 보호에 소홀한 것으로 파악됐다.
건설 실무와 현장교육을 맡는 교육원의 홈페이지에는 교육생 5만여명의 주민등록번호가 현재까지 1년 넘게 노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장애인 수만명의 신상 정보가 고스란히 노출돼 있다.
구글 검색창에 적절히 키워드를 조합해 입력하면 특정 복지기관에서 지원받는 장애수급자 2천347명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장애유형 등이 적힌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공동주택 난방비 경감 대상인 장애인들의 이름과 주소, 전화번호, 장애등급까지 적혀 있는 파일도 나온다.
개인정보보호 의무는 새로 개정된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공공기관은 물론 제조업, 서비스업, 1인 사업자, 의료기관, 협회·동창회 등 350만곳에 이르는 모든 개인정보 처리자로 확대됐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