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4일 실험쥐를 이용해 원인미상 폐 손상 원인을 규명하는 흡입독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잠정적으로 이상 소견이 나타났다"며 이같이 권고했다.
현재 진행 중인 가습기 살균제 흡입 독성 실험은 지난 9월 말 시작됐다. 흡입실험은 실험쥐 80마리를 20마리씩 4개 집단(시장점유율이 높은 살균제 3종을 각각 흡입하도록 한 3개 집단과 흡입하지 않은 1개 비교군)으로 나눠 하루 6시간씩 주 5일간 흡입하도록 하고, 실험 1개월 및 3개월 시점에 부검을 통해 폐조직에 생긴 변화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실험 결과 흡입 1개월 후 진행된 1차 부검 결과 일부 제품을 흡입한 실험 쥐에서 잠정적으로 이상 소견이 발견됐다.
전병율 질병관리본부장은 “살균제를 흡입한 실험 쥐의 폐 조직에서 인체 원인미상 폐 손상과 같은 변화를 관찰했다”라며 "다음 주 중에는 최종 결과를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복지부는 "모든 국민에게 가습기 살균제 사용 중단을 강력 권고하고 판매업자에게도 판매 중단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며 "향후 최종 부검결과를 통해 인과관계가 입증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제품 안전 기본법에 따라 강제 수거 명령을 발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날 ▲하루 한 번 물통의 물을 5분의 1 정도 넣고 충분히 흔들어 2차례 이상 헹구고 ▲진동자 부분의 물은 가습기에 표시된 배출구 쪽으로 기울여 제거하며 ▲세척 전에는 손을 깨끗이 씻고 ▲진동자 부분 및 물통 세척은 스펀지나 천으로 닦는다 등 내용을 담은 가습기 안전 사용 요령을 발표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