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만개한 시대에 '인터넷 신문 보도증'제도를 도입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5공 시절엔 정부가 발급한 보도증이 없는 언론인은 기자가 아니었다. 기자가 이니기 때문에 청와대 출입도 불가능했다.
이같은 지적은 청와대가 내놓는다는 소위 ‘개방형 브리핑 제도’에서 비롯됐다 . 지난 10일 청와대는 국정 브리핑을 통해 새로운 청와대 취재 방안을 제시했다.
그 골자는 청와대는 △11일부터 대변인 정례브리핑을 KTV(국정TV)로 생중계하고 △그동안 상주기자(일명 풀 기자단)에게만 공개해온 ‘e-춘추관’ 사이트를 청와대 등록기자 174개사 320여명 전원에게 개방하며 △온라인 질의응답 시스템을 확대 개편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청와대가 밝혔던 ‘전면 개방’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기존에 청와대에 출입하던 기자들에게 상주기자단들이 활용하던 ‘e-춘추관’ 사이트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일 뿐 새로운 기자의 등록을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아직도 청와대가 출입기자로 등록을 허용하지 않고 있는 한국인터넷미디어협회 23개 회원 매체 기자들은 여전히 청와대 취재 기회가 제한된다는 말이다.
이와 관련,청와대 춘추관 보도지원실은 한국인터넷미디어협 회장사인 프리존 뉴스와의 통화에서 “정치적 성향 때문에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며 “인터넷기자협회나 인터넷신문협회에 등록하면 될 거 아니냐”고 반문했다.
현재 청와대 출입을 하기 위해서는 청와대가 정한 언론단체의 추천을 받는 것이 필수다. 이런 언론단체는 모두 9개. 그 중 인터넷 매체가 가입할 수 있는 단체는 인터넷기자협회와 인터넷신문협회다. 두 협회가 사실상 카르텔, 언론 '담합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셈이다.
신생매체중에 아무리 성장 속도가 빠른 매체, 발전 가능성이 높은 매체라도 청와대와 '궁합' '코드'가 맞지 않는 매체, 카르텔 울타리 바깥에 있는 매체는 '현대판 보도증' 발급이 불가능하다는 것인가?
오마이 뉴스가 회장을 맡고 있는 인터넷신문협회는 까다로운 진입장벽이 있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거나 새로 생긴 인터넷 매체들이 가입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한국인터넷미디어협회가 지난 2월에 결성됐다.
이런 사정을 설명하자 청와대 측은 “대선 시즌만 되면 잠깐 생겼다 사라지는 사이비 언론들이 있어 문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렇다고 인터넷미디어협회 회원사들이 사이비 언론이라는 말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청와대측은 또한 “현재 등록되어 있는 기자들 이외 추가로 매체를 등록할 계획은 없다”고 밝히면서도 “홍보수석이 결제하면 등록할 수 있다”는, 조금은 이해하기 어려운 말을 하기도 했다.
이번 청와대 출입제도를 비롯, 정부부처의 기자실 통폐합 작업은 김정호 국정홍보처장, 양정철 홍보기획 비서관, 그리고 윤승용 홍보수석 비서관등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인터넷미디어협회는 이같은 청와대의 브리핑 제도 개편안을 ‘대외적인 개방이 아니라 대내적인 개방’이라고 혹평하고 청와대에 항의방문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협회의 23개 회원사 가운데는 방문자 순위에서 상위를 차지 하고 있는 매체도 많다. 이들 매체는 정부로부터 언론사 등록증을 받았다.그러나 청와대 판단엔 언론사가 아니라서 그런지 몰라도 '보도증'을 받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