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보성 70대어부 연쇄살인 '의문의 통화'
상태바
보성 70대어부 연쇄살인 '의문의 통화'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7.10.08 13:58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남 보성 70대 어부 연쇄살인사건에 대한 초기 부실수사 지적이 일고 있는 가운데 피해자의 시신이 발견된 이후 피해자의 휴대전화로 누군가 경찰서에 전화를 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유족들은 피해자가 4차례나 119에 전화를 했는데도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소방본부 관계자들을 경찰에 고발하는 등 범인검거에도 불구하고 사건의 파문이 끊이지 않고 있다.

8일 피해자 유족들이 조회한 대학생 A씨의 통화내역에 따르면 이들이 숨진 지 일주일이 지난 9월7일 누군가 A씨의 휴대전화로 보성경찰서 강력팀에 전화를 걸어 17초간 통화했다.

당시 전화를 받은 경찰관은 외근을 나가면서 사무실 전화를 자신의 휴대전화로 착신해 놓았다.

착신 서비스 이용에 따라 경찰관의 휴대전화에는 지난 달 5일 이미 시신으로 발견된 A씨의 휴대전화 번호가 기록됐지만 경찰관은 이를 알아채지 못했다.

피해자들의 시신에서 별다른 타살 혐의점을 발견하지 못한 경찰은 이들의 휴대전화 위치추적 등을 통해 행적수사를 벌였는데도 불구하고 수사 초기에 이 같은 단서를 놓치고 말았다.

A씨의 휴대전화는 사건 당일 119에 4차례 통화를 시도했던 바로 그 전화로 사건 초기 부실수사 논란의 도화선 역할을 했다.

경찰은 이 같은 사실을 최근까지도 명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가 유족들이 통화내역 조회를 통해 이의를 제기하자 뒤늦게 진위 파악에 나섰다.

경찰은 A씨의 휴대전화를 이용해 경찰서에 전화를 건 인물이 현재 살인 혐의로 구속된 어부 오모(70)씨로 보고 있다.

지난달 7일 오씨가 배 안에 떨어져 있던 A씨의 휴대전화 전원을 켜면서 전원이 꺼져 있을 동안 A씨에게 전화를 건 '콜키퍼' 번호들이 등록되자 그중 가장 최근에 기록된 전화번호가 보성경찰서 강력팀 전화번호인 줄 모르고 무심코 번호를 눌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시신이 발견된 이후에는 통화내역을 뽑을 필요가 없어 지난 7일자 통화기록 사실이 누락된 것 같다"며 "오씨도 휴대전화를 만진 것 같다고만 말할 뿐 정확한 내용을 기억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한편 유족들은 사건 당일 대학생 A씨가 4차례나 119에 전화를 했는데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등 직무를 유기했다며 소방본부 관계자들을 경찰에 고발했다.

보성 연쇄살인사건은 수사 초기 관할권을 갖고 있던 해경에 대한 감찰조사와 119 관계자들에 대한 경찰고발로까지 이어지고 새로운 통화사실까지 드러나면서 파문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쁜경아 2007-10-08 23:19:45
사건이 생기면 왜항상 초반에는 부실수사를해서 문제가 되는것인지~~내가사는곳도 살인사건 부실수사로 두달전?에 결찰서장이 교체되었지..꼭 사건이 기사화 되고나면 제대로된 수사를 해야되는것인지 부실수사로 억울한 사람들이 얼마나 많으까 하는 생각이드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