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금융권 감원바람에 해고급여 30% 증가...신한금융 최대
상태바
금융권 감원바람에 해고급여 30% 증가...신한금융 최대
  • 유성용 기자 sy@csnews.co.kr
  • 승인 2015.03.25 08: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대 금융그룹의 해고급여가 지난해 30% 이상 증가했다.

저금리기조가 장기화되면서 금융사들이 수익성 방어를 위해 인적 구조조정을 통해 몸집 줄이기에 힘을 쏟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현재도 인적 구조조정을 준비 중인 그룹이 있어 해고급여 증가세는 올해도 여전히 이어질 전망이다.

2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신한·KB·우리·하나 등 4대 금융그룹은 지난해 해고급여액으로 2천820억 원을 지출했다. 전년보다 31.6% 늘어난 수치다.

금융사들이 저금리 등 경영 환경 악화 속에서 인적 구조조정을 실시하면서 해고급여액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11.jpg

신한금융(회장 한동우)이 1천200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하나금융(회장 김정태) 930억 원, 우리은행(행장 이광구) 677억 원, KB금융(회장 윤종규) 11억 원 등이다.

해고급여는 회사가 통상적인 퇴직시점 이전에 명예퇴직 등을 제안하고 직원이 이를 자발적으로 제안해 수락하는 경우에 들어가는 비용을 말한다. 가령 명예퇴직을 조건으로 회사 측이 직원에게 최대 60개월 치 급여를 준다고 했다면 이 비용이 해고급여가 된다.

4대 금융 중 KB금융을 제외한 3곳은 모두 해고급여가 증가했다. 하나금융은 2013년과 지난해 해고급여액 증가율이 80.2%에 달했다. 신한금융과 우리금융도 각각 33.5%와 27.7% 늘었다.

신한금융 주력 계열사인 신한은행은 지난 2013년 160명을 희망퇴직으로 내보냈고 지난해에는 부지점장급 이상 직원 100명이 회사를 떠났다. 하나은행(행장 김병호)은 지난해 특별퇴직으로 113명을 내보냈다.

KB금융은 지난해 눈에 띄는 인력 구조조정을 실시하지 않으며 지난해 해고급여액이 2013년 197억 원에서 11억 원으로 4대 금융그룹 중 유일하게 감소했다.

다만 국민은행의 경우 지난 2009년 강정원 행장과 2011년 민병덕 행장 시절 각각 2천200명과 3천200명의 대규모 희망퇴직을 실시하며 해고급여로 6천500억 원 이상을 지출했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해고급여액 증가는 퇴직 인원이 늘었을 수도 있지만 노사 간 합의 과정에서 보상금 수준이 점차 높아지는 부분도 작용했다”고 말했다.

4대 금융그룹이 올해 지출하게 될 해고급여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민은행은 1천여명 안팎의 감축을 목표로 노동조합과 협의 중에 있으며 우리은행도 임금피크제 적용 대상자를 중심으로 200여명 규모의 희망퇴직을 진행할 방침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유성용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