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포항제철소 석탄화력발전소 시작부터 '진통'...환경부·지역사회 '공해 걱정'
상태바
포항제철소 석탄화력발전소 시작부터 '진통'...환경부·지역사회 '공해 걱정'
  • 윤주애 기자 tree@csnews.co.kr
  • 승인 2015.07.06 08: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스코(회장 권오준)가 포항제철소에 1조 원을 들여 석탄화력발전소를 짓겠다고 발표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환경문제에 발목이 잡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발전소 인근 주민들이 오염피해를 우려하며 반대입장을 보이고 있는데다 환경부도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2021년까지 1조 원을 들여 포항제철소의 기존 발전설비를 교체할 계획이다. 철강을 만들고 난 부생가스 등으로 자가발전을 해왔는데 노후설비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지는데다 발전용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포항제철소는 13개 부생가스 발전기에서 전기를 약 1천MW 생산하고 있다. 이 중 1970년대에 만든 4개(100MW)를 폐쇄하고 500MW용량의 화력발전설비로 대체할 예정이다.

포스코는 자가발전용량이 46%대로 일본과 중국의 경쟁사들이 90%대인 것에 비하면 절반 수준이라고 밝혔다.

포스코는 이르면 올해 착공에 들어가 3년간 설비를 짓고, 5년 동안 환경위해평가를 진행할 경우 2021년에 완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렇게 되면 포스코의 전기요금 부담감이 줄어들 전망이다.

포스코는 지난해 약 6천억 원을 전기요금으로 냈고, 요금인상이 계속 이뤄질 경우 2021년에는 1조 원이 넘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포스코는 영업실적이 부진한 상황이라 비용지출을 줄이기 위한 효율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실제로 포스코는 매출액이 2013년 30조5천억 원에서 지난해 29조2천억 원으로 줄었고, 올 상반기도 감소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관건은 다른 지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한 환경 문제다. 지역사회 및 환경단체 등은 대기오염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이미 발전소 인근 주민들의 피해 사례를 들어 석탄화력발전소 건립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포스코는 산업자원통상부와 기획재정부, 환경부 등에 석탄화력발전소 투자계획을 설명하고 관련 규제완화를 요청했다. 환경부 등은 포항이 청정원료지역이라며 석탄 사용에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포스코는 낙후된 설비를 바꾸는 것이어서 효율성은 높이고, 오염물질을 저감화할 수 있도록 청정기술을 접목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우선 포항시와의 협의가 진행중이고, 관계부처와도 (석탄화력발전소 건립사업에 대한) 조율이 진행중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포스코와 계속 협의를 진행해 (얼마나 청정기술을 구현할지 등) 실현 가능성과 타당성 등을 검토하고 있다"며 "관계부처와도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윤주애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