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사는 이번 MOU를 계기로 5G 프로토타입 단말 개발에 선도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5G 상용화를 위해서는 5G를 포함한 모든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하고 네트워크 간 상호연동이 자유로운 단말 개발이 필수적이다.
양 사는 5G 상용화가 유력한 주파수 대역을 선정하고 해당 주파수 기반으로 5G 프로토타입 단말 개발 및 성능 검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앵커-부스터 셀은 5G 핵심기술 중 하나로 기존 4G 네트워크인 LTE 망에 차세대무선랜인 '와이기그(WiGig)'를 기폭제 및 보조망으로 활용함으로써 대용량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
향후 양 사는 앵커-부스터 셀에 콘텐츠 서버를 구축하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 기술을 적용해 데이터 전송 지연을 방지하는 등 고객 체감품질을 향상시킬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연내 분당 소재 종합기술원에 다양한 5G 기술의 성능검증 및 시연을 위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해 인텔과 선도적으로 5G 기술 연구개발을 할 계획이다.
SK텔레콤 최진성 종합기술원장은 "글로벌 ICT 기업인 인텔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5G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5G 시대 개막을 한걸음 앞당길 것"이라며 "SK텔레콤은 기술의 혁신을 넘어 고객 가치의 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선도적으로 5G 서비스를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텔 아샤 케디 플랫폼 엔지니어링 그룹 부사장 겸 차세대 표준 그룹 총괄 책임자는 "5G 네트워크는 뛰어난 디바이스 연결성을 제공하고 새롭고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양 사가 보유한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5G 상용화를 위한 다양한 난제들을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김건우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