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대우조선해양 주가폭락, '산업은행·금융위' 울상
상태바
대우조선해양 주가폭락, '산업은행·금융위' 울상
  • 윤주애 기자 tree@csnews.co.kr
  • 승인 2015.07.19 09: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우조선해양(대표 정성립)이 올해 2분기 실적에 조(兆) 단위 손실을 느닷없이 반영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1~2대 주주인 KDB산업은행(회장 홍기택)과 금융위원회(위원장 임종룡)가 큰 손해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두 기관의 보유지분 가치가 3천800억 원가량이나 급감했기 때문이다.

19일 정부와 금융권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 주가는 부실 의혹이 한 언론매체에 보도되기 전날인 지난 14일 주당 1만2천500원에서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인 17일 7천980원으로 마감해 3거래일간 4천520원(36.16%)이나 떨어졌다.

15일 30%(3천750원) 빠지면서 하한가를 찍은 뒤로는 낙폭을 줄이긴 했어도 16일(6.51%, 570원 하락)과 17일(2.44%, 200원 하락)에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지난 1년간의 최고가(2만7천700원, 2014년 7월24일)와 2001년 2월 상장 이후의 역대 최고가(6만5천원, 2007년 10월16일)와 비교하면 초라하다.

이는 지분 31.46%(6천21만7천183주)를 보유한 최대주주이자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에도 엄청난 평가손을 안겼다.

산업은행은 3일간의 주가 하락으로 대우조선 지분 가치가 7천527억 원에서 4천805억 원으로 2천722억원 줄었다. 

현재 가치는 산업은행이 2014회계연도 감사보고서에 적시한 장부가액(1조5천667억 원)의 3분의1에도 못 미친다.

2대 주주로 12.15%(2천325만5천778주)를 가진 금융위원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지난 14일 2천907억 원에서 17일 1천856억 원으로 지분가치가 1천51억 원 감소했기 때문이다.

두 기관이 사흘간 본 전체 평가손은 3천773억 원이다. 특히 KDB산업은행은 국책은행인 점을 고려하면 이는 고스란히 정부 부담으로 돌아가는 셈이다.

한편 3대 주주인 국민연금은 7.09%(1천356만2천969주)를 보유하다가 5월8일, 6월1일, 6월11일 등 세 차례에 걸쳐 3.09%(590만2천193주)를 처분해 지분율을 4.00%(766만776주)로 낮춤으로써 그나마 평가손실을 줄였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윤주애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