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포스코 노사는 60세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 확대, 연공위주 임금체계의 직무·능력·성과 중심 개편,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상생 실천 등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그동안 포스코는 만58세를 정년으로 하고, 만56세부터 만58세까지는 임금지급률을 매년 10%포인트 줄이고 정년 이후에는 2년간 선별적으로 60세까지 계약직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해왔다.
포스코가 이번에 개선한 임금피크제에 따르면, 내년부터 정년을 만60세로 연장하면서 만56세는 임금의 90%, 만57세는 임금의 80%, 만58세에서 정년까지는 임금의 70%를 각각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날 포스코 노사는 현재 연공위주의 임금체계를 2017년부터 직무·능력·성과 중심으로 개편키로 합의하고, 올해 4분기 외부전문가와 함께 하는 노사합동 연구반을 공동 가동키로 했다.
특히 이날 포스코 노사는 경영위기 극복과 상생고용 실천을 위해 올해 임금을 동결하는 대신, 130억 원 상당의 절감된 임금으로 전통시장 상품권을 구입해 포스코와 외주파트너사 직원들에게 나눠주기로 했다.
포스코는 2011년부터 임금피크제를 선도적으로 도입했다. 이번 임금피크제 확대시행, 연공중심 임금체계 개편, 정규직 임금동결 등 노동개혁 핵심 이슈를 노사합의로 이끌어냈다.
포스코는 구조조정, 본사.스탭부서 슬림화 등 그룹 차원의 비상경영을 추진하고 있는 중에도 연초 계획대로 올해 6천400명을 신규 채용하는 한편, 외주사 및 공급사와 함께 ‘일학습병행제’를 도입해 매년 300명씩 향후 5년간 1천500명에 대한 추가 일자리를 지원키로 했다.
일학습병행제는 취업희망 청년들을 채용해 기업현장에서 현장교사가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의 교육훈련프로그램과 현장훈련교재에 따라 일정기간 일과 이론교육을 시킨후 자격 또는 학위를 부여하는 교육훈련제도다. 교육기간이 끝나면 자체 채용하거나 다른 기업으로 취업을 지원하게 된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윤주애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