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손보사 연금저축, '연금수령기간 제한'으로 소비자 불이익 초래
상태바
손보사 연금저축, '연금수령기간 제한'으로 소비자 불이익 초래
  • 김문수 기자 ejw0202@csnews.co.kr
  • 승인 2015.09.14 09: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손해보험사가 취급하는 연금저축(이하 연금저축손해보험) 상품에 대해서만 연금수령기간을 25년으로 제한해 논란이 되고 있다.

14일 정우택 정무위원장(청주 상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생명보험, 은행 등이 취급하는 연금저축과는 달리 연금저축손해보험에만 연금수령기간을 25년으로 제한하고 있다.

정부는 2018년 고령사회, 2026년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12년 ‘100세 시대’에 대비한 자발적 노후 대비 유도 및 복지수요 증대로 인한 재정악화 예방을 위한 연금세제개편을 실시했다. 1개인연금가입액은 2010년말 55조 1천100억 원에서 2014년말 96조 5천449억 원으로 급증했다. 우체국, 신협 등 공제회 개인연금은 제외한 수치다.

연금소득세율을 55세 이후부터 70세까지는 5%, 80세까지는 4%, 80세 이후에는 3%로 차등화해 연금 장기수령을 유도한 것이다. 

하지만, 생명보험, 은행, 증권 등 타금융업권과는 달리 현행 '보험업감독규정'에서는 연금저축손해보험만 연금 지급기간을 '5년 이상 25년 이내'의 확정기간으로 제한하고 있다.

연금저축손해보험에 가입한 사람이 55세부터 연금을 수령한다면, 지급기간 제한으로 80세까지밖에 연금을 수령할 수밖에 없다. 80세 이상이 받을 수 있는 연금소득최저세율 3%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이다.

즉 삼성생명 연금가입자는 평생 연금수령과 함께 80세이후 3% 최저세율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비해 삼성화재 연금가입자는 연금수령을 최대 25년까지밖에 할 수 없는데다 최저세율 3%헤택에도 제한을 받고 있는 것이다.

장기간에 걸쳐서 연금수령을 원하는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하고 상품 가입자들의 불이익을 초래한다는 지적이다. 

2014년말 개인연금가입계좌수는 생명보험이 289만계좌, 손해보험이 209만계좌, 신탁 95만계좌, 펀드가 55만계좌로 총 649만계좌가 가입돼 있다. 이중 손해보험가입자는 209만 계좌로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어 손보 가입자들이 불이익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우택 위원장은 “고령화를 대비하는 정부 연금정책 기조와 정반대인 규제가 남아있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면서 “금융당국은 일관성 있는 정책으로 업권간 형평성을 유지하고 정책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문수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