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은행권 자영업자 대출 급증...국민은행, 기업대출 중 절반 넘겨
상태바
은행권 자영업자 대출 급증...국민은행, 기업대출 중 절반 넘겨
  • 김문수 기자 ejw0202@csnews.co.kr
  • 승인 2015.09.17 08: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 시중은행의 소호대출(자영업자대출) 규모가 전년보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기업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하는 추세다. 은행들이 부실률이 낮고 대손비용이 적게 드는 소호대출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17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KEB하나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 4곳의 8월 기준 전체 소호대출 잔액은 128조7천768억 원을 기록했다.
5.jpg

이는 전체 기업대출 312조537억 원의 41.3% 수준이다.

소호대출은 부동산, 임대업, 숙박 음식점업, 도·소매업 등을 영위하는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출로 담보, 보증, 신용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중 담보대출은 오피스텔 등 기타 부동산담보대출이 80% 가량을 차지한다.

4개 은행 중 소호대출 규모가 가장 많은 곳은 KB국민은행(행장 윤종규)으로 46조7천110억 원이다. 이어 신한은행(행장 조용병)이 33조895억 원, 우리은행(행장 이광구) 29조858억 원, KEB하나은행(행장 함영주) 19조8천905억 원 순이다.

4개 은행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소호대출 규모가 두자릿 수 비율 증가했다. KEB하나은행은 지난해 대비 21% 증가했고 우리은행은 18.2% 증가했다. 국민은행과 신한은행도 각각 13.7%, 11.8% 증가했다.

소호대출은 리스크 대비 수익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어 은행들이 소호대출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1일 출범한 KEB하나은행 함영주 행장은 소호대출을 획기적으로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우리은행도 기업대출의 질적 개선을 위해 소호대출을 늘리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체 기업대출 중 소호대출 비중도 늘었다. KEB하나은행은 전년 보다 5.6%포인트 높아졌다. 국민은행은 3.3%포인트 늘었고 우리은행은 2.7%포인트, 신한은행은 1.5%포인트 올랐다.

이와 관련해 국민은행 관계자는 "여신은 소액대출 위주인데다 사업장을 담보로 나가기 때문에  부실 가능성이 적고 금리는 대기업이나 주택담보대출보다 수익성이 있다"며 "성장산업이라 소호대출에 집중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문수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