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현대차 중국시장서 토종업체 추월당해, "구매세 인하로 회복될 것"
상태바
현대차 중국시장서 토종업체 추월당해, "구매세 인하로 회복될 것"
  • 김건우 기자 kimgw@csnews.co.kr
  • 승인 2015.10.29 10: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자동차(대표 김충호·윤갑한)가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6년만에 현지 업체에 추월당했다.

중국 자동차공업협회 집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중국 내 업체별 자동차 판매 순위에서 현대차(베이징현대)는 72만4천여 대를 판매하며 6위에 그쳤다. 중국 토종업체 창안자동차가 80만9천여 대를 팔아 현대차를 끌어내리고 5위로 반등했다.

현대차가 중국업체보다 뒤처진 것은 2009년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까지는 현대차가 5위, 창안자동차는 한 단계 아래 6위였다.

현대차는 창안자동차보다 2013년 20만9천581대 더 팔았지만 격차가 지난해 14만6천688대로 좁혀지더니 올해는 역전을 당했다.

현대차는 지난달 모델별 판매 순위 톱 10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현대차 랑동(아반떼)은 1만9천709대로 12위에 그쳤다.

009.jpg

기아자동차(대표 이형근·박한우)는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올해 1~9월 판매량이 39만5천771대로 전체 순위 15위에 그쳤다. 중국업체로는 창안자동차와 창청자동차(10위), 길리자동차(14위)에 뒤를 이은 순위다.

현대·기아차 합산 실적에서도 올해 1~9월 112만7천361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대비 11.4% 감소했다. 중국 시장 점유율도 10.5%에서 1.7% 포인트 떨어진 8.8%에 머물렀다. 반면 중국 업체들의 합산 점유율은 40.9%를 기록해 전년 동기대비 3.3% 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최근 중국 내 완성차 정책이 완성차 업체들에 호의적으로 바뀌어가고 있는 점은 긍정적 요소다.

중국정부가 경기부양 정책 중 하나로 지난 1일부터 배기량 1,600cc 이하 소형차 구매 시 자동차 구매 세율을 10%에서 5%로 인하하면서 완성차 판매 증가를 기대해볼 수있기 때문이다. 현재 중국시장에서 현대·기아차의 배기량 1600cc 이하 소형차 판매비중은 60% 이상이다.

이원희 현대차 재경본부장도 지난 22일 열린 컨퍼런스콜을 통해 "구매세 인하로 중국 시장에서 1.6리터 터보 엔진 차종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그동안 중국시장에서 어려움을 겪었지만 구매세 인하와 판매 회복세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김건우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