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브로드밴드(대표 이인찬)가 대규모 투자 펀드 조성으로 양질의 콘텐츠 양성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방송시장의 고객 유치를 위한 저가 경쟁 구조를 개선하겠다는 목적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미디어 콘텐츠의 고비용 지출을 걱정할 수 있다. SK브로드밴드가 꺼낸 '양질의 콘텐츠' 제작이 소비자의 고비용 지출을 얼마나 유도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8일 서울 을지로 SK텔레콤 본사 4층에서는 SK브로드밴드-CJ헬로비전 합병법인 출범 이후 향후 1년간의 투자 계획이 발표됐다.
이어 "저가 할인 가격 경쟁이 아닌 플랫폼 차별화 경쟁으로 전력을 다할 때"라며 "방송 생태계는 새로운 가치 창출 등을 통해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날 SK브로드밴드는 합병법인 출범 이후 1년간 3천억 원 규모의 대규모 콘텐츠 투자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합병법인은 콘텐츠 생태계 활성화 차원에서 1천500억 원을 출자한다. 나머지 1천700억 원은 투자 유치로 조성할 계획이다.
조성된 펀드는 콘텐츠 제작에 2천200억 원 투자, 관련 스타트업 활성화 1천억 원 등에 쓰인다. 향후 1천800억 원은 발생 수익으로 재투자해 5년간 총 5천억 원 규모의 콘텐츠 산업 생태계 육성에 투자된다.
이러한 SK브로드밴드의 투자 계획에 관련 업계종사자들은 긍정적 의견을 내비쳤다. 이승호 KTB 네트워크 상무는 "이번 SK브로드밴드의 콘텐츠 투자 펀드 조성은 최근 결성된 관련 펀드 중 최대 규모가 될 것"이라며 "자금 조달에 허덕이는 중소업체들에게는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행사 종료 후 진행된 기자들과의 질의응답 시간에는 합병법인의 불발 시 문제들이 거론됐다. SK브로드밴드의 이러한 투자 계획은 결국 SK브로드밴드와 CJ헬로비전의 합병 불발 시 물거품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인찬 대표는 "조심스러운 부분이고 그렇게 되지 않길 바란다"며 "만약 합병 승인이 불발될 경우 이날 발표한 콘텐츠 투자 펀드 조성 규모는 축소되거나 그 계획이 잠정 중단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지완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