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강석훈 산은 회장 "부산이전은 국정과제...돌이킬 수 없어"
상태바
강석훈 산은 회장 "부산이전은 국정과제...돌이킬 수 없어"
  • 김건우 기자 kimgw@csnews.co.kr
  • 승인 2022.09.14 16: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본점 부산이전'을 놓고 산업은행의 노사 갈등이 심해지고 있는 가운데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이 부산이전은 국정과제 차원으로 돌이킬 수 없다고 입장을 재확인했다.

산업은행의 역할론에 대해서는 한국경제가 당면한 초저성장 고리를 끊고 초격차 첨단산업 지원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경제 재도약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이라고 청사진을 밝혔다. 

강 회장은 14일 오후에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취임 이후부터 논란이 된 산업은행 본점의 부산이전 논란에 대해 그대로 추진할 뜻을 언급했다. 

강 회장은 "산업은행 본점 부산이전은 대선 공약으로 처음 제시됐고 국정과제로 선정된 사안이기에 저로서는 국정과제를 어떻게 잘 수행하는지가 책임이라고 생각했다"면서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에 대해 정부가 결정한 사안을 산은이 거부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면서 직원들이 좀 더 냉정하게 현 상황을 바라봐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대통령께서 7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부산이전을) 공개적으로 언급했고 국무총리와 경제부총리도 국회에서 확약한 상황"이라면서 "제가 아무리 회장이라도 국가 최고 책임자들이 결정한 상황에서 결정을 뒤집을 수 없다는 점도 이해해주길 바라고 있다"고 덧붙였다. 
 

▲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이 14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이 14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그러면서 강 회장은 산은 부산이전의 당위성에 대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뒤쳐진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재도약을 위한 수요를 충족하는 결정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산은 부산이전은 법 개정 이전에도 산은법을 저촉하지 않는 선에서 부울경 지역 자산이나 영업기반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ㅂ노력하겠다는 점도 언급했다. 

강 회장은 "부산지역의 해양영업쪽을 우선 확대하려고 하는데 빠르면 내년초 쯤 조직을 갖춰질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산업은행법을 위반하지 않는 선에서 영업조직을 확대할 계획이며 (언론에서 보도된) 500명 이전은 검토해본 바 없다"고 잘라 말했다. 

다만 강 회장은 산은 부산이전에 대해 직원들이 갖는 의구심이 일부 타당하다고 동의하면서 산업은행법 개정 전까지 직원들과 깊은 토론을 통해 생각을 진솔하게 나누겠다며 소통을 강조했다. 

그는 "직원들이 우리가 왜 부산을 가야하는지 의문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인재유출에 대해서도) 이전 과정에서 가장 신경써야 할 부분으로서 부산과 서울 인원 비율부터 부산 이전시 직원들의 주거와 교육문제 등도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강 회장은 '위기'를 키워드로 꼽으며 산업은행이 향후 대한민국 산업구조의 대전환을 통해 저성장 고리를 끊고 세계적인 경제대국의 첨병이 되는 미래지향적 역할에 집중할 뜻을 밝혔다. 이를 위해 반도체 분야에 5년 간 30조 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검토할 뜻을 밝히기도 했다.

그는 "산업은행의 궁극적 목표는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높여 다가올 초저성장 시대를 극복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GDP 성장의 1% 포인트를 책임지는 산은이 되고자한다"면서 "향후 산은은 초기술격차 산업 지원을 확대하고 경제안보대응을 강화해 산업구조 대전환을 지원하고 시장안전판 역할을 강화하는데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경제 재도약 프로젝트를 위해 향후 5개 내외 산업을 선정해 그 중 1호를 반도체 산업에 집중 지원할 것"이라며 "향후 5년 간 30조 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검토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