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강호동 농협중앙회장, 국감서 수뢰의혹·보이스피싱 등 집중 포화
상태바
강호동 농협중앙회장, 국감서 수뢰의혹·보이스피싱 등 집중 포화
  • 박인철 기자 club1007@csnews.co.kr
  • 승인 2025.10.24 13: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4일 열린 농협중앙회 국정감사에서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수뢰 의혹과 농협 보이스피싱 피해 등 주요 현안에 대해 의원들로부터 집중적으로 질의를 받았다. 

우선 강 회장은 자신을 둘러싼 금품 수수 의혹과 관련해 사과하며 고개를 숙였다.

앞서 서울경찰청 반부패수사대는 지난 15일 강 회장이 금품을 수수한 혐의와 관련해 농협중앙회 본관 집무실 등을 압수수색한 바 있다.

강 회장은 지난해 1월 농협중앙회장 선거 즈음 농협중앙회 계열사와 거래 관계에 있는 용역업체 대표로부터 약 1억 원 상당의 금품을 받은 혐의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언론 보도에 따르면 농협유통에 경비와 미화 용역을 제공하는 업체 대표로부터 두 차례에 걸쳐 1억 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해당 인사를 만난 적이 있는가"라고 추궁했다.

이어 "의원실에 들어온 제보에 따르면 농협유통이 지난해 10월 24일 나라장터에 경비·미화 관련 입찰을 공고했다가 다음날 돌연 취소했다"면서 "입찰을 취소했다면 공고를 다시 내는 것이 맞는데 재공고 없이 금품을 제공했다는 업체가 39억6700만 원 규모의 수의 계약을 맺었다"면서 의혹을 지적했다.

이에 강 회장은 "국민과 206만 조합원, 12만 임직원, 1110명 조합장들에게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면서 "내부 사항은 수사 중이라 이 자리에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지만 경찰 수사에 성실히 임해 사실관계를 명백히 밝히겠다"고 언급했다.

이 외에도 의원들은 5년 간 900억 원대 보이스피싱 피해가 발생한 농협에 대한 문제를 지적을 이어갔다. 

강명구 국민의힘 의원은 “지역 농축협을 포함하면 보이스피싱 사례가 1783건에 달한다. 다른 시중은행보다 대포통장 개설 수가 현저히 많아 ‘보이스피싱범의 맛집’이라는 기사가 나올 정도”라고 질타했다.

이어 “농협 직원 7만 명 중 보이스피싱 예방 교육을 받은 인원이 15%(1만 명)에 불과하고,  모니터링 인력은 고작 16명이다. 어떻게 현장 대응을 하느냐”고 따졌다.

강 회장은 "5년 간 농협 보이스피싱 피해는 상호금융이 600억 원, 농협은행이 300억 원 조금 넘어 약 900억 원 가량으로 알고 있다"면서 "현재 보이스피싱 모니터링 직원은 46명, 예산은 연간 6억 원 가량인데 많은 예산을 편성하고 인력을 확충해 보이스피싱 예방 강화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신탁사 수익증권을 담보로 한 농협상호금융 부동산 담보 대출 연체율이 21.3%”라면서 "무궁화신탁이 전직 농협 간부를 영입해 지역 농협을 대상으로 무리하게 영업을 펼치다 벌어진 부작용인 것 아니냐“고 지적하기도 했다.

한편 현재 매각 절차에 있는 홈플러스 인수 가능성을 묻는 어기구 농해수위 위원장의 질의에 대해 강 회장은 내부적으로 검토한 바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강 회장은 "농협의 유통사업이 너무 어렵다"면서 "농협유통과 하나로유통에서 연간 400억 원씩 총 800억 원 가량 적자가 발생하고 직원도 200여 명 구조조정했다"고 언급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인철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