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SK그룹은 경북 경주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공식 부대행사로 ‘퓨처테크포럼 AI’를 개최했다.
‘AI 시대의 도전과 기회, 국가 AI 생태계 전략과 해법 모색’을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는 미국·싱가포르·페루 등 APEC 주요국 정부와 기업, 학계 인사들이 참석했다.
최 회장을 비롯해 하정우 대통령비서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 매트 가먼 아마존웹서비스(AWS) CEO, 최수연 네이버 CEO, 김경훈 OpenAI 코리아 총괄대표, 유영상 SK텔레콤 CEO,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 등이 연사로 참여해 AI 생태계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최 회장은 환영사에서 “AI를 빼고는 비즈니스를 이야기할 수 없는 시대”라며 “AI가 국가의 성장엔진이자 안보자산으로 부상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OpenAI의 ‘ChatGPT’를 ‘AI 쇼크’로 표현하며, 글로벌 주요국들이 기술 인프라 구축과 기술 확산을 통한 주도권 경쟁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의 AI 경쟁력을 뒷받침할 핵심 요소로 기술자립과 신뢰기반 협력을 꼽았다.

최 회장은 “국가마다 AI 해법은 다르지만, 민관 협력 기반의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과 독자 AI 모델 개발 등 기술자립이 중요하다”며 “글로벌 AI 기업과의 신뢰기반 협력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SK그룹이 추진 중인 SK AI 데이터센터 울산과 OpenAI와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대표적인 협력 사례로 언급했다.
최 회장은 “AI 인프라 구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반도체·에너지 병목현상은 한국이 빠르게 해결책을 시험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각국의 AI 생태계 전략과 기술 협력 방향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하정우 수석비서관은 정부의 ‘AI 3대 강국 전략’을 소개하며 “데이터·인재·기술 기반의 국가 AI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SK그룹은 행사장 인근 경주엑스포대공원에서 열린 K-테크 쇼케이스에도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 AI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반도체·냉각·보안 기술을 통합한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선보였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선다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