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이찌방야 마곡발산점은 지난 28일 오픈했다. 서울 강서권을 대표하는 비즈니스 타운인 마곡지구 중심 상권에 위치했다. 인근에는 LG사이언스파크를 비롯한 대기업 연구소와 첨단산업 관련 오피스가 밀집해 있으며 마곡역과 발산역이 도보권에 있어 직장인과 유동 인구가 꾸준히 이어지는 지역이다.
코코이찌방야 마곡발산점 김률 점주는 “발산동에서 음식점을 8년간 운영해오던 중 발산에 이어 마곡 상권이 활성화되는 것을 보고 추가 사업을 결심했다”며 “유행을 타지 않고 오랫동안 운영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평소 즐겨 찾던 코코이찌방야를 창업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공덕 롯데캐슬점의 장용록 점주는 코코이찌방야 직영점 점장에서 가맹점주로 전환한 사례다. 일본에 거주하던 그는 현지 코코이찌방야의 프랜차이즈 사업 능력과 낮은 가맹점 폐업률, 창업을 희망하는 직원을 가맹점주로 육성하는 ‘블룸 시스템(Bloom System)’등을 보며 코코이찌방야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얻었다. 한국으로 귀국해 코코이찌방야에 입사한 그는 3년만에 점장 자리에 오르는 등 열정적인 모습으로 우수한 실적을 보였다.
장용록 점주는 “직영점에서 근무할 당시 직원을 배려하는 본부의 친밀한 소통방식에 믿음이 생겼고, 코코이찌방야 창업에 성공한 선배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창업을 결심할 수 있었다”며 “코코이찌방야는 빠른 음식제공 속도와 회전율로 오피스 상권 점포에 적합해 오피스 매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매장으로 자리잡을 수 있길 기대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코코이찌방야는 최근 직영점 매장 직원 출신이 가맹점을 오픈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가맹점주 중 내부 직원 출신이 43%에 달한다. 이는 본사에 대한 신뢰와 사업성에 대한 확신, 안정적 수익이 비결로 꼽힌다.
농심 관계자는 “빠른 점포 수 확장보다 느리더라도 신중하게 매장을 오픈한다는 것이 모토”라며 “가맹점 확대에 따라 점주의 수익구조 개선과 가맹점과의 상생에 중점을 두고 가맹점 지원 제도를 강화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한편 ‘여기가 제일 맛집’ 이라는 의미를 담은 코코이찌방야는 카레의 매운맛과 밥양, 토핑 재료를 고객들의 취향에 맞춰 커스터마이징하는 방식의 카레전문점이다. 국내에서는 농심이 운영 및 가맹사업을 총괄하고 있으며 일본 본사와의 업무 제휴로 서비스, 위생, 메뉴 품질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며, 계절별 신메뉴와 특선메뉴 개발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송민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