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지수의 산정의 오류는 실질 성장률을 낮추는 등 다른 경제지표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7일 정 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위원, 김봉근 성균관대 경제학부 교수, 박명호 한국조세연구원 세정연구팀장은 `대외경제연구'에 게재한 `한국의 소비자물가지수 편의 추정과 국제물가비교에 대한 시사점'이라는 논문에서 이 같이 주장했다.
이들은 2000년부터 2005년까지 6년 간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해 소비자물가지수의 오차를 추정한 결과, 이 기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의 누적 측정 오차는 3.7%포인트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를 연 평균으로 환산하면 0.7%포인트로, 분석 대상 기간 중 특정 연도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이 3.0%였다면 실제 물가상승률은 2.3%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또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에서 추려낸 5천134가구의 식료품 예산비중과 2005년 기준 소비자물가지수로 구한 가구별 명목소득 및 연도별 물가수준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 가구의 6년 간 실질소득이 31.2% 늘어났고 소득에서 식료품 예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22.5%에서 2005년 15.5%로 7%포인트 낮아졌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