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개미 간' 빼 먹는 증권사들..고객 돈으로 '돈놀이'
상태바
'개미 간' 빼 먹는 증권사들..고객 돈으로 '돈놀이'
고객예탁금 운용수익 2조원 `꿀꺽'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8.04.29 07: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증권사들이 최근 5년 동안 주식투자자들의 예비자금인 고객예탁금에서 발생한 2조원대의 운용수익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29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한국증권금융은 2003년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5년간 연평균 12조원 이상의 고객예탁금을 운용해 신탁보수(0.05%)를 제외한 운용수익 약 2조7천600억원을 증권사에 돌려줬으나 증권사들은 이중 일부만 고객에게 이용료 명목으로 지급했고 나머지를 고스란히 주머니에 챙겼다.

증권금융은 국내 29개 증권사로부터 고객예탁금의 운용을 신탁 받아 국공채와 머니마켓펀드(MMF), 환매조건부채권(RP), 양도성예금증권(CD), 수시입출금식예금(MMDA) 등 주로 안전자산과 단기상품에 투자해 연 환산 기준 4~5% 수준의 운용수익을 내고 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는 예탁금 운용수익률이 3~4%대에 그쳤지만 2006년 이후에는 시중 금리가 상승하면서 4~5%대로 높아졌다.

   하지만 증권사들은 고객에게 1% 미만의 예탁금 이용료만 지급했다.

   3월 결산법인인 국내 5대 상장 증권사(매출액 기준)들은 2006회계연도(2006.4~2007.3) 말 기준 고객예탁금 잔고가 총 6조3천300억원이지만 고객에게 지불한 이용료는 560억원에 불과, 고객입장에서 보면 예탁금 평균 수익률은 0.88%에 그친 셈이다.

   최근 5년 동안 고객예탁금에서 발생한 2조7천600억원대 운용수익 중 5대 증권사의 평균 고객 수익률(0.88%)을 적용할 경우, 고객에게 돌아간 돈은 5천600억원대에 그친 것으로 추산된다. 증권사들이 전체 예탁금 운용수익의 80%에 달하는 2조2천억원을 챙겼을 것이라는 계산이다.

   그나마 삼성, 대우, 현대, 대신, 우리 등 5대 증권사의 평균 예탁금 이용료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고 신영증권과 동부증권 등 중소형 증권사의 예탁금 이용료율은 대체로 0.5~0.6% 수준에 그치며 온라인 증권사인 키움증권은 0.22%에 불과했다.

   소액 투자자들이 이른바 '큰손'에 비해 예탁금 이용료면에서 불이익을 받고 있는 사실도 드러났다.

   한국증권업협회가 집계하는 증권사별 예탁금 이용료율을 보면 국내 증권사들은 예탁금이 3억~5억원 이상인 투자자에게는 2% 이상의 이용료를 지급하지만 3천만원 이하 투자자에게는 0.25~0.50% 수준의 이용료를 지급하고 있다.

   개미투자자들이 투자를 위한 예비자산인 예탁금의 수익률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은 점을 증권사들이 악용한 것이다.

   증권사들이 온라인 주식거래 수수료를 최근 파격적으로 낮출 수 있는 것은 고객예탁금 운용수익과 신용융자 등을 통해 많은 수익을 챙기고 있는 데 따른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D증권사의 한 관계자는 "고객 예탁금은 은행의 보통예금과 비슷한 성격으로 예금보험공사에 지급하는 보험료(예탁금 평균잔고의 0.24%) 등 계좌관리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운용수익의 상당 부문을 가져가고 있다"고 해명했다.(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