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TV '100분 토론'이 평소 시청률의 두 배 이상을 기록해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얼마나 높은 지 단적으로 보여줬다.
지난 8일 ‘미국산 쇠고기 안전한가’를 놓고 벌인 MBC `100분 토론`(진행 손석희)이 3시간이 넘는 난상토론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사회시민단체들의 이견만 노출된 채 끝났다.
하지난 심야 시간에 방송됐음에도 6.5%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해 쇠고기 문제에 대한 국민의 높은 관심을 보여줬다.
이날 방송된 MBC `100분 토론`은 최대 국민적 관심사인 `미국산 쇠고기, 안전한가`라는 주제로 8명의 패널이 참여해 160분의 예정 시간에 20분의 시간이 추가된 장장 3시간 동안 끝장 토론을 벌였지만 평행선만 달렸다.
이날 토론회의 정부측 인사로는 이상길 농림수산식품부 축산정책단장과 외교통상부 다자통상국장 이태호, 정인교 인하대 경제학부 교수 , 권준욱 질병관리본부 전염병관리팀장이 나섰고 반대측 인사로는 송기호 국제통상전문 변호사, 박상표 건강을 위한 수의사 연대 정책국장, 우석균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실장, 진중권 중앙대 겸임교수가 참석했다.
1부는 미국산 쇠고기의 안정성에 대해, 2부는 협상결과에 대해 논의했지만 양쪽이 팽팽한 대립각만 세웠다.
특히 국민들의 큰 반발을 사고 있는 미국 쇠고기의 안정성에 대해 정부와 시민단체 측은 극명한 입장대립으로 신경전을 벌였다.
한편, 이날 토론에서는 전화로 연결된 애틀란타에 거주하는 재미교포 주부 이선영씨가 현지의 상황을 상세하게 전하며 미국 쇠고기의 광우병 위험을 지적해 시선을 모았다.
기가찬다.어제 교포가 미국서도 20개월 이하 소고기를 먹어도 불안하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풀을 먹고 자란 소고기를 되도록이면 사먹이려고한다.
그랬더니 이태호인가 그사람이 하는말이 그럼 채소에도 유기농이 있고
농약을 친 채소가 같이 있고 어느걸 사먹느냐 그건 결정하는 사람마음이라
고 했든가그렇게 따지면 물론 농약 친 채소가 안전하다라는 말은 아니지
만 광우병 걸린 소고기 세제로 씻어서 먹으면 광우병이 안걸리고 광우병이
없어지냐고.그걸 대답이라고 하는건지..
있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