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윤철 감사원장이 13일 사퇴키로 함에 따라 전 정권에서 임명된 임기직 인사들의 퇴진이 급물살을 탈지 주목된다.
전 원장은 그동안 여권내에서 사퇴 1순위로 꼽혀왔다. 그러나 전 원장은 임기가 2011년 11월이며, 정년이 내년 6월인데다 감사원의 주요 업무가 마무리되지 않았다는 점 등을 이유로 자리를 고수해왔다.
이에 따라 여권은 전 원장에 대한 사퇴 압박을 강도 높게 추진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관계자는 "전 원장은 전 정권 임명직의 상징적인 인사"라며 "전 원장이 물러나야 사퇴 물꼬가 트일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전 정부 임명직 인사가 새 정부에 신임을 묻는 게 도리라는 것이 일관된 원칙"이라며 "국정철학을 공유할 수 없다고 판단될 경우 한배를 탈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는 "전 원장도 예외일 수 없다"고도 했다.
일각에서는 전 원장 사퇴를 위해 다각적인 우회압박 카드를 동원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를테면 노무현 정부 당시 일부 인사의 퇴진을 위해 `386 실세들'이 사용했던 방식 등이다. 그러나 전 원장의 위상 등을 감안, 섣부른 접근은 자제했다는 것이 여권 분위기다.
전 원장도 이 같은 압박 기류 속에서 향후 거취를 놓고 고심을 거듭한 것으로 전해졌다. 더욱이 최근 감사원의 감사 결과가 새 정부와 코드를 맞추는 쪽이 아니냐는 여론이 인 것도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후문이다.
여권은 전 원장 사퇴를 계기로 일부 임명직 인사들에 대한 사퇴 압력을 가중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특히 새 정부 들어 자리 보전을 하면서도 새 정부에 칼 끝을 겨누는 식의 `내부 이반' 인사에 대해선 조기 정리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전 원장 후임으로는 당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사람은 없지만 전 원장이 호남출신인 점을 감안, 호남 배려 원칙이 지켜지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호남 출신인 임상규 전 농림부장관과 함께 윤진식 전 산업자원부장관, 송정호 전 법무부 장관, 안강민 전 서울지검장 등이 거명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