숀 매코맥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이달 초 북한을 방문한 미국 정부 대표단의 방북 협의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인 대북 식량지원계획을 조율하고 있으며, "아마도 수 일 내로 모종의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매코맥 대변인은 방북 대표단이 북한측과 "훌륭한 협의"를 했으며, 특히 이제까지 대북 식량지원의 걸림돌이 돼온 모니터링 문제에 대해서도 "대체로 우리가 보기에 보다 개선된 식량 배포 모니터링 메커니즘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 북한의 구체적인 식량 수요와 이를 충당할 수 있는 미국의 지원 능력, 만족스러운 모니터링 메커니즘 구축 문제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고 매코맥 대변인은 덧붙였다.
데이너 페리노 백악관 대변인도 대북 식량지원 문제와 관련, "(식량지원)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행할지를 논의할 실무 회의가 조만간 열릴 것"이라며 "(계획이) 확정되면 국무부를 통해 공식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페리노 대변인은 미국 정부가 50만t의 대북 식량지원을 계획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이같이 말하고 "북한이 식량부족 사태에 직면해 있다고 말해왔기 때문에 우리는 지원방안을 논의해 왔고, 그 방법으로는 비정부기구(NGO)를 통하거나 세계식량기구(WFP)를 통하는 게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페리노 대변인은 "조지 부시 대통령은 수많은 사람들이 굶주리고 있는 북한의 인권상황에 대해 거듭해서 우려를 표명해 왔다"면서 "부시 대통령은 북한 정부가 지원된 식량을 주민에게 분배하는 대신 군대로 빼돌리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시 대통령은 그러나 "충분한 영양공급이 없으면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일과 공부를 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특히 굶주리고 있는 아동들에 대해 가슴 아파하고 있다"고 페리노 대변인은 강조했다.
이에 앞서 성 김 국무부 한국과장도 대북 식량지원 문제에 대한 북-미간 합의가 있었는지를 묻는 질문에 "유익한 논의가 있었으나, 아직까지 합의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미 국부무와 백악관측의 이 같은 언급들은 미국이 50만t의 식량을 WFP와 비정부단체(NGO) 등을 통해 북한에 지원할 것이란 보도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이뤄진 것이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