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1일부터 모든 사업장에서 복수 노동조합이 설립될 수 있게 되면서 사실상 '무노조' 기업인 포스코에 노조가 설립될 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철강노조가 가장 강성이지만 포스코는 창립이후 이렇다할 노동조합이 설립되지 않았었다.
포스코는 올 1분기를 기준으로 전체 직원이 1만7천명에 달한다. 60개 계열사까지 합칠 경우 직원 숫자는 더 어마어마해진다. 그러나 현재 설립된 노동조합은 10여명이 가입해 있을 뿐, 무늬만 노조(일명 페이퍼 노조)로 불린다.
노동계에서는 올 하반기부터 복수노조가 허용됨에 따라 무슨 일이 있어도 포스코와 삼성에 깃발을 꽂겠다고 벼르고 있다. 이를 위해 양사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노조 설립을 집요하게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경영진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1일 포스코 관계자는 "아직까지 내부적으로 노동조합 설립을 위한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그렇다고 노조를 만들지 못하게 할 수도 없는 노릇이라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민주노총의 경우 포스코 직원들에게 접근,외주업체들에게도 복지 혜택이 확대되야 한다는 논리로 노조 설립을 제안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자사 직원들도 아니고 외주업체에 혜택이 돌아가는 것을 누가 좋아하겠냐. 정치적으로 이념만 가지고 노조설립에 수긍하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그는 병든 세포론을 펼쳤다.
건강한 세포는 불순물(병적인 성분)이 들어가더라도 정화될 수 있다. 약해진 틈을 타 세포에 침투해야 병이 들거나 그럴 텐데, 포스코는 비교적 건강한 세포라는 얘기다.
실제로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회사가 직원들의 든든한 울타리가 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삼성과 마찬가지로 '노조가 필요 없는 회사'를 만들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그러나 노조 설립의 가능성은 활짝 열려 있는 상황이어서 긴장의 고삐도 놓지 않고 있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최근 사내하청 조직에서 노조가 만들어질 것을 감안해 하청 인사담당자도 노무교육을 받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복수노조는 1997년 3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 조정법(노조법)’이 제정된 이후 3차례 미뤄진 끝에 본격 시행됐다. 7월1일부터 사업장 단위의 조직 대상이나 형태와 관계없이 2개 이상의 노동조합을 자유롭게 설립할 수 있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윤주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