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단계 업체 판매원들에 지급되는 후원수당이 상위 극소수에게 편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다단계업체 판매원들에게 지급된 후원수당의 56%를 상위 1% 미만 판매원이 차지해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각한 것.
특히 상위 1%미만 판매원의 평균 수당은 4천308만원인 반면에 하위 40% 미만 판매원의 평균 수당은 1만7천원에 불과해 격차가 무려 2천533배에 달해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거의 대부분의 하위 판매원들은 벌어 들이는 비용 보다 더 많은 돈을 쓰거나 소비를 하면서 상위 1%의 배만 불려 주고 있는 셈이다.
4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다단계판매업자의 정보공개에 관한 고시'에 따르면 한국암웨이.앤알커뮤니케이션즈.하이리빙.모티브비즈.씨엔커뮤니케이션즈.아이모아.에스비라이프등 90개 다단계업체의 작년 총매출액은 2조5천334억원으로 전년 2조2천586억원에 비해 2천748억원(11.2%)이 늘었다.
이중 상위 10개 업체의 매출액은 1조 9천905억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65.6%를 차지했으며 업계 1위인 `한국암웨이'가 8천546억원의 매출(전체의 33.7%)을 올렸다.
또 폐업 또는 등록취소된 23개사를 제외한 67개 업체의 작년 후원수당 지급총액은 8천94억원으로 전년(7천49억원)에비해 14.8% 증가했다.
수당을 받은 판매원 가운데 상위 1%미만의 판매원이 지급받은 후원수당은 4천541억원으로 전체 후원수당의 56.0%를 가져갔다. 즉 99%의 판매원이 남은 44%의 후원수당을 나눠 가진 셈으로 후원수당의 편중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위 1%미만 판매원의 연간 평균수당은 4천308만원으로 직장인 평균 연봉(2009년 2천530만원.국세청 자료)보다 훨씬 높았다. 하지만 1~6%미만 판매원은 396만원, 6~30%미만 판매원은 46만원, 30~60%미만 판매원은 7만3천원, 60~100% 판매원은 1만7천원 등에 불과했다.
상위 판매원은 아주 많은 수입을 올리지만 대부분의 판매원은 수입이 저조한 것으로, 수당지급구조가 피라미드형이라기 보다는 첨탑형에 가까웠다.
공정위의 한 관계자는 "이는 수당이 상위판매원으로 집중되는 다단계 판매의 특성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작년 12월말 기준 다단계업체 판매원수는 357만4천명으로 전년(340만명)보다 17만4천명(5.1%) 증가했으며 후원수당을 수령한 판매원은 104만9천명(29.4%)으로 전년(113만3천명)보다 8만4천명(7.4%) 감소했다.
상위 10개 업체의 1인당 평균 수당수령금액은 76만2천128원이었다.
다단계업체의 단일 품목 최대 매출 제품은 `한국암웨이'의 영양제 `더블엑스 종합비타민 무기질 리필'로 작년 한해동안 988억5천만원어치가 팔릴 정도로 인기가 있었다.
공정위는 "다단계판매 시장규모는 2007년 이후 완만하게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추세로 매출액 대비 후원수당 지급비율 및 판매원수도 증가하고 있으나 후원수당의 상위판매원 편중현상은 여전하다"고 밝혔다.
공정위는 또 "일부 업체들의 경우 후원수당을 법정한도(35%)이상으로 과도하게 지급하거나 소비자피해보상보험 가입의무 미준수 등 시장질서를 교란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공정위는 "하계방학을 맞아 청년층 실업을 틈탄 대학생 등 취약계층에 대한 일부 불법 다단계, 유사 다단계 및 신종 다단계업체 등을 대상으로 조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특히 공정위는 유령판매 조장행위, 사재기 등 판매원에 대한 과도한 부담 부과행위, 제품 원가에 비해 과도한 소비자가(법상 한도 10배) 책정행위, 판매원의 열악한 상황을 이용하는 각종 거래상 지위 남용행위 등 위법사항 적발 시 엄중제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